[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살가죽이 벗겨진 자화상/이원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살가죽이 벗겨진 자화상/이원

입력 2017-09-22 17:52
수정 2017-09-22 18: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장식 ‘저 언덕으로’ 146×112㎝, 캔버스에 아크릴
신장식 ‘저 언덕으로’ 146×112㎝, 캔버스에 아크릴 서울대 미술대학 회화과 서양화 전공 졸업 및 동대학원 졸업, 현 국민대 예술대학 미술학부 교수. 국민대 예술대학장, 종합예술대학원장 역임
살가죽이 벗겨진 자화상/이원

검은빛에 갇힌

길들. 제 스스로 몸을 구부려 돌아가고 있는 것
하루. 벽을 밀고 가는 것
한여름에 모포를 뒤집어쓰고 땀을 뻘뻘 흘리는 형국


물 빠진 뻘에 배가 여럿이다
바다 멀리까지 보인다
죽은 사람 산 사람 모두 여기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안이 들끓어 밖을 보지 못하는 것은 안을 만들어내기 때문

다시는 사람으로 태어나지 않을 것이다
사람으로 태어난다 해도 나는 내가 사람인지조차 모를 것이다


사람은 날마다 거울을 통해 제 얼굴을 바라본다. 그 얼굴에 나타난 세월의 흔적과 자기의 상처와 더불어 타자의 욕망을 본다. 이 바라봄은 곧 성찰의 행위로 이어진다. 얼굴은 내가 처한 곤란함과 피로와 누추함을 드러낸다. ‘자화상’이란 들끓는 안이 뒤집혀 바깥이 되어 버린 풍경이다. “안이 들끓어 밖을 보지 못하는 것은 [끝없이] 안을 만들어 내기 때문”이란다. 나는 내 안을 드러내는 이 표면[얼굴]이 싫다. 그것에서 도망가고 싶다. “다시는 사람으로 태어나지 않을 것이다”라는 말은 얼마나 서늘한가.

장석주 시인
2017-09-23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