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화분/유희경

[그림과 詩가 있는 아침] 화분/유희경

입력 2017-03-24 17:58
수정 2017-03-24 23: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나에겐 화분이 몇 개 있다 그 화분들 각각 이름을 가지고 있지만 어쩌면 따박따박, 잊지 않고 잎 위에 내려앉는 햇빛이 그들의 본명일지도 모르지 누구든 자신의 이름을 먹고 자라기 때문이다 흠뻑 젖을 정도로 부어주는 물도 그들의 이름일 테지 흠뻑 젖고 아래로 쏟아낸 물을 다시 부어주어도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나는 나의 발을 보았다 거실의 부분, 환하다

누구든 자신의 이름을 먹고 자란다고 하니 시인은 내심 나를 ‘어이, 콩나물국’ 하고 부를지도 모르겠다. 날마다 먹고 보고 쬐고 만나는 것들이 다르니 내 본명도 매일매일 순간순간 바뀌겠지. 오늘은 어디 가서 환한 산수유를 보고 노란 이름 하나 얻으면 좋겠다. 그러면 오래전 구례 산동에 버리고 온 시간이 따박따박 내 발등 위로 떨어지겠지. 산수유였다가 바람이었다가 어느 순간 그리움인 이름들. 흠뻑 젖고 아래로 쏟아낸 물을 다시 붓듯이, 내가 뜨겁게 안았다가 잊고 만 이름들이 내 이름으로 돌아오는 순간들. 그래서 이 시는 아주 소박한 상상에서 시작한 듯하지만 우리 존재의 전부를 거느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나와 산수유와 그리움이 하나의 이름을 얻을 때, 그 순간의 진실들로부터 새로운 세계가 열리기 때문이다. 서로가 자신을 지우고 바꾸고 뒤섞으면서 하나의 몸으로 고통과 슬픔과 쓸쓸함을 감당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하기 때문이다. 저 차고 깊은 바닥을 차고 마침내 떠오른 배처럼 이제 갓 화분을 벗어난 맨발을 어디로 옮겨 놓으면 좋을까? 언젠가부터 스스로도 모른 채 심겨져 있던 화분을 양말처럼 벗고 멀리까지 달려가는 꽃들이 보인다.

신용목 시인

2017-03-2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