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여름 나무 백일홍은 무사하였습니다 한차례 폭풍에도 그 다음 폭풍에도 쓰러지지 않아 쏟아지는 우박처럼 붉은 꽃들을 매달았습니다.
그 여름 나는 폭풍의 한가운데 있었습니다 그 여름 나의 절망은 장난처럼 붉은 꽃들을 매달았지만 여러 차례 폭풍에도 쓰러지지 않았습니다.
넘어지면 매달리고 타올라 불을 뿜는 나무 백일홍 억센 꽃들이 두어 평 좁은 마당을 피로 덮을 때, 장난처럼 나의 절망은 끝났습니다.
무사히 폭풍을 견뎌낸 백일홍이 붉은 꽃들을 매달았다는 첫 연의 언술을 읽으면 새삼 다행스러운 생각과 동시에 어떤 경건한 마음까지 들게 됩니다. 여리면서도 질긴 생명이 거대한 자연을 마주하는 방식이 잘 드러나 있지요. 하지만 화자의 내면을 이야기한 두 번째 연으로 넘어오면서 시를 읽는 이들의 머릿속은 조금 복잡해지기 마련입니다. 폭풍에 쓰러지지 않은 것이 다른 것도 아니고 바로 ‘나의 절망’이기 때문입니다. ‘절망은 쓰러져야 좋은 게 아닌가?’ 하는 물음도 곧 따라 붙습니다.
그렇지만 조금 골똘하게 궁리해 보면 이것 역시 다행스러운 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나의 절망은 어떤 외부의 힘에 의해서 쓰러져야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쓰러질 절망이었다면 애초에 이것은 절망다운 절망도 아니었을 테고요. 참다운 절망이란 자신 스스로 충분히 절망하고 또 반성과 복기의 과정을 거치고 나서야 사라지는 존재일 것입니다.
여름의 폭풍을 견뎌낸 백일홍이 피어나 두어 평 좁은 마당을 핏빛으로 덮듯 절망을 온전히 견딘 자리에서 새로운 나의 가능성이 피어날 것입니다.
박준 시인
2016-08-20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