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용의 구석기 통신] 발가락도 귀하다

[이한용의 구석기 통신] 발가락도 귀하다

입력 2020-09-22 20:16
수정 2020-09-23 01: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발가락뿐 아니라, 얼굴도 닮은 데가 있네”라는 위로로 끝나는 김동인의 소설 ‘발가락이 닮았다’는 자식을 낳을 수 없는 처지의 M이 아내가 출산하자 자신의 친자가 아님을 직감하면서도 발가락이 똑 닮았다며 자신의 유전자가 전달된 것이 틀림없다고 강변하는 ‘웃픈’ 현실을 풍자하고 있다. M이 아이의 몸을 샅샅이 살펴서 자기와 닮았다고 찾아낸 곳은 하필 발가락이다. 신체의 여러 부위 중에서 가장 주목받지 못하는 부위가 발가락이기 때문에 중의적인 표현으로 발가락이 닮았다고 비유를 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사실 발가락은 그 역할에 비해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양말로 꽁꽁 묶인 채 신발 속에 처박혀서 바깥세상 구경도 제대로 못 하고 지내는 것도 모자라 온종일 주인님의 몸무게를 오롯이 감당해야 하는 중노동까지 수행해야 하니 발가락은 참으로 낮은 곳에서 힘들고도 어려운 책무를 맡고 있는 것이다.

그 고생을 해도 잠자기 전에 마지 못한 비누칠 한 번으로 하루의 노고를 보상받는 대접을 받는 게 고작이니, 금이야 옥이야 하루에도 여러 차례 여기저기 꼼꼼히 씻기고 향기로운 크림까지 듬뿍 발라주는 호사를 누리는 같은 ‘가락’ 가문 출신 손과 처지를 비교해 볼 때는 섭섭함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제대로 씻기지 않은 과오는 생각하지도 않고 고약한 냄새를 풍긴다고 업신여김까지 받을 때가 있으니 발가락 입장에서는 참으로 원통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우리 인간을 다른 동물과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특징이 단연 직립보행, 두 발로 걷는다는 것임을 상기해 볼 때 발가락이 얼마나 저평가되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두 발로 걷는다는 것은 손의 해방을 의미하며, 자유로워진 두 손으로 석기를 만들기 시작하면서 인류는 새로운 진화의 길을 걷게 되었다는 설명을 자주 한다.

그러나 사실 알고 보면 인류가 손의 해방을 맞은 것은 두 발이 생겼기 때문이다. 두 발을 가지게 됨으로써 비로소 직립보행을 할 수 있었고 손도 해방될 수 있었다.

침팬지의 손은 그나마 사람의 손과 비슷한 점이 있지만 발은 완전히 다르다. 두발 걷기에 적합한 발은 발가락들이 정면을 바라보는 위치로 정렬하면서 완성이 되었다. 두 발로 섰을 때 발가락들이 체중을 분산하여 지탱하는 것은 물론 무게중심을 이동하며 앞으로 나갈 때 일제히 체중을 떠미는 운동을 하므로 두 발로 걸을 수 있다. 발가락들이 떠억 버티면서 마지막 힘을 지탱해 주지 못하면 똑바로 설 수도 걸을 수도 없다. 그리고 그런 발가락은 오직 사람만이 갖고 있다.

비록 제대로 대접받지 못하지만 중요한 일을 묵묵히 하는 발가락 같은 분들이 우리 사회를 떠받치고 있다. 머리도 중요하지만, 발가락도 소중하다. 서로 역할이 다른 것이다. 머리를 잘리면 바로 죽지만 발가락을 잘려도 죽는다. 단지 시간이 조금 오래 걸릴 뿐이다. 그래서 발가락도 귀하다.
2020-09-2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