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그동안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유형의 감염병 공포를 가져온 코로나19로 평범한 일상의 자유는 여전히 제한되고 있다. 언제 그 끝을 볼 수 있을지도 모르고, 어떤 미래가 인류를 기다릴지는 더욱더 모르는 불안한 상황이 전 세계적으로 계속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방역 당국의 노력과 의료진의 헌신 그리고 전 국민의 협조로 비록 초반에 큰 어려움이 있었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서는 일상으로의 복귀가 조금씩 진행되고 있어 그나마 다행이다.
코로나19가 발생한 병원을 다녀온 분들이 같은 직장에 있어 잠시 코로나19의 직접 당사자가 된 경험을 한 적이 있다. 확진자를 접촉한 것도 아니고 단지 확진자가 발생한 병원을 다녀온 분들과 잠시 한 공간에 머물러 있었다는 데서 오는 막연한 불안감 속에 가장 먼저 떠오른 생각은 내가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어쩌나 하는 두려움보다는 나로 인해 또 다른 사람들이 감염되면 어쩌나 하는 걱정이었다. 나만 그런가 했는데 모두가 음성 판정을 받고 사태가 진정된 뒤에 다른 분들의 얘기를 들어 보니 하나같이 나 때문에 다른 사람이 감염되면 어쩌나 하는 근심을 했다는 것이다.
이럴 때 보면 역시 사람은 참 희한한 구석이 있는 동물임은 틀림없어 보인다. 그리고 가끔은 나보다 남을 먼저 생각하는, 호혜적 이타성이라고 하는 이 공감 능력이야말로 우리 호모사피엔스가 지금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던 저력 중의 하나일 것이다.
코로나19는 피부색을 가리지 않았다. 국경도 의미가 없었고, 정치인도 왕족도 코로나19를 피할 수 없었다. 부자도 가난한 사람도 코로나19는 공평하게 대해 줬다. 코로나19는 우리 호모사피엔스가 매우 평등한 ‘단일종’이라는 사실을 새삼 일깨워 주었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우리 호모사피엔스가 너무나도 불평등한 존재라는 점도 깨닫게 해 주었다. 경제적 약자들이 코로나19의 직접 피해를 보는 확률이 훨씬 높았기 때문이다. 인간 스스로가 만든 불평등을 되돌아보는 기회를 얻게 된 것은 코로나19가 가져온 또 하나의 역설이 아닐까 싶다.
코로나19 이후의 세계는 코로나19 이전으로는 영원히 돌아갈 수 없을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많다. 그래도 수백만 년 계속된 인류 진화의 고단한 여정에서 우리 호모사피엔스가 극복해 온 여러 난관을 생각해 보면 이번 코로나19의 시련 역시 잘 이겨 내리라 믿는다. 아니 우리 호모사피엔스가 모두 힘을 합쳐 이겨 내리라 믿고 싶다. 하지만 무엇보다 나보다 남을 먼저 생각하는 호혜적 이타성이 우리 안에 생존 본능으로 끝까지 남아 있을 때만 가능할 것이다.
2020-05-06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