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민 온라인뉴스부 기자
정리를 결심한 게 시작이었다.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니 물건을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졌다. 공간을 차지하는 모든 물건에 쓸모를 물었다. 정리전문가 곤도 마리에의 말처럼 더는 설레지 않고, 지난 1년간 사용한 적이 없다면 버리기로 했다. 가격이 가치를 결정하지 않았다. 100만원을 주고 산 카메라는 여전히 설렜지만 휴대폰 카메라를 대신하지 못했고, 일년에 두어 번 가벼운 산행을 하는 내게 20만원짜리 등산가방은 선물이 아닌 짐이었다. 등산가방은 1분도 되지 않아 5명이 사겠다고 했고, 20분 만에 집 앞 지하철역에서 거래가 완료됐다. 중고거래가 이렇게 편하고 빠를 수 있다니. 가격을 싸게 올린 것도 이유였겠지만 반경 6㎞ 안 이웃들에게 실시간으로 보여지는 시스템이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나중을 기약하며 그저 머물렀던 물건이 누군가의 쓸모가 되는 기쁨은 꽤 크다. 가지고 싶었던 물건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해서 행복하다는 후기에 덩달아 행복한 기분이 들고, 늦게 도착해 죄송하다며 건네받은 따뜻한 캔커피에 마음 한구석이 훈훈해진다. 간혹 지나치게 흥정을 하고 거래약속을 지키지 않거나 당장 버려야 할 것 같은 물품을 내놓는 사람들을 보면 눈살이 찌푸려지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이 훨씬 많고, 이러한 데이터가 프로필에 반영되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만족감이 훨씬 크다.
비우니 비로소 보인다. 공간이 늘어나니 별도의 인테리어를 하지 않아도 태가 난다. 자주 쓰는 물건만 제자리에 놓으니 더이상 물건을 찾느라 시간을 허비하지 않아도 되고, 무엇을 입을지 한눈에 정할 수 있다. 블랙프라이데이 소식에 여전히 흔들리지만 가지고 싶었던 물건이 맞는지, 자주 쓸 수 있는 것인지, 대체할 기존의 물건은 없는지 곱씹어 본다.
“혹시 당근?” 나의 물건을 계기로 한참을 대화하다 번호를 교환한 멋쟁이 예술가 언니와 가까운 역까지 와 줘서 고맙다고 환하게 웃던 소녀. 우리의 일상은 우연한 계기로 다채롭게 연결된다. 당근마켓 판매는 휴식기에 들어갔지만 앞으로도 과거의 소비가 현재의 나를 괴롭히지 않게 살고 싶다.
planet@seoul.co.kr
2020-11-2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