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민수의 고대 이집트 기행] 고대 이집트 문명의 탄생

[곽민수의 고대 이집트 기행] 고대 이집트 문명의 탄생

입력 2021-03-15 17:22
수정 2021-03-16 02: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곽민수 이집트 고고학자
곽민수 이집트 고고학자
일반적으로 ‘고대 이집트 문명’이라고 부르는 문명이 시작되기 직전 이집트의 각 지역은 40여개의 정치체로 나뉘어 있었다. 이들 정치체는 일종의 ‘도시국가’라고도 할 수 있지만, 이집트에서는 ‘도시국가’라는 개념이 딱 들어맞지 않기 때문에 보통은 그리스어로 ‘지구’(地區)를 뜻하는 ‘노모스’라고 부른다. 40여개나 되던 이 노모스들은 어느 시점이 되면 상이집트와 하이집트 두 개의 정치체로 통합된다.

나일강은 이집트 땅에서는 계속 하나의 물줄기로 흐르다 지중해에 도달하기 직전에 삼각주를 형성하며 여러 개의 지류로 갈라지는데, 결과적으로 상류의 계곡 지대와 하류의 삼각주 지대라는 서로 아주 다른 두 개의 자연환경이 형성되게 된다.

이들 지역을 각각 상대적으로 상류와 하류에 위치한다는 뜻에서 ‘상이집트’와 ‘하이집트’라고 부른다. 이 지역들이 갖고 있던 경관적인 차이는 실제적으로는 물론이고 인식론적으로도 두 지역을 서로 다른 공간으로 나누어 놓았다. 그렇기 때문에 일단 두 지역이 각각 하나의 정치체로 통합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런 현상은 역사가 지속되면서 이집트가 정치적으로 분열될 때마다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심지어는 통일이 돼 있던 시기에도 상·하 이집트는 언제나 분리된 상태로 인식됐다. 예컨대 파라오들은 언제나 ‘두 땅의 주인’이나 ‘상·하 이집트의 왕’ 같은 칭호로 불렸다.
이미지 확대
‘나르메르의 머리’라고 이름이 붙여진 석회암 두상. 런던대학교 페트리 이집트고고학 박물관 소장.
‘나르메르의 머리’라고 이름이 붙여진 석회암 두상. 런던대학교 페트리 이집트고고학 박물관 소장.
서로 경쟁하던 상·하 이집트는 기원전 3100년경에 상이집트 주도로 최초로 통일이 된다. 하나로 통일된 왕조가 이집트에서 처음 만들어지게 되는 이 시점을 이집트 문명이 시작되는 때로 잡는다. 이때를 기점으로 일반적 의미의 고대국가가 탄생했다고 볼 수 있다. 문자 기록도 이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지기 시작한다. 이때부터 약 500년 동안을 ‘초기왕조 시대’라고 부르는데, 통일 왕국이 만들어지기는 했지만 국가의 중앙집권화 정도는 아주 높지 않았던 만큼 이 시기를 피라미드가 지어질 정도로 굉장한 수준의 국가적 역량을 발휘하는 훗날의 ‘고왕국 시대’와 구분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때 최초로 이집트를 통일한 파라오가 누구였는지는 아직도 의견이 분분하다. 여러 후보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메네스라는 인물이다. 그는 현대의 학계에서도 사용하는 연대 체계를 처음 제안한 마네토의 기원전 3세기 기록에서도 최초의 파라오로 언급돼 있다. 뿐만 아니라 마네토 이전의 연대기적 기록인 토리노 왕명표(기원전 13세기), 아비도스 왕명표(기원전 13세기) 등에서도 메네스는 첫 번째 파라오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딱 잘라서 ‘최초의 파라오는 메네스’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그건 이 인물이 후대 기록에서는 자주 등장하지만, 그가 실제로 살았음직한 시대의 유물에서는 그의 존재가 잘 확인되지 않기 때문이다. ‘호르아하의 상아 라벨’이라는 예외가 있기는 하지만 여기에서도 그의 이름은 단독으로 쓰여 있는 것이 아니라, 호르아하라는 또 다른 파라오의 부수적인 이름인 것처럼 쓰여 있다. 그렇기에 메네스라는 이름은 호르아하의 별칭으로 추정하는 경우도 있다.

나르메르라는 인물도 유력한 ‘최초의 파라오’ 후보자다. 이 인물은 메네스와는 정반대로 후대의 기록에서는 그 이름이 잘 확인되지 않지만, 고고학적으로는 보다 분명하게 확인된다. ‘나르메르 팔레트’나 ‘나르메르 곤봉 머리’ 등이 그의 이름이 확인되는 대표적인 유물이다. 심지어는 팔레스타인 남부 지역의 몇몇 유적에서도 그의 이름의 쓰인 토기편들이 발견되기도 한다.

이런 정황들은 학자들이 메네스와 나르메르가 동일인인지, 아니면 나르메르가 메네스보다 먼저 왕위에 올라 통일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인지, 그것도 아니라면 메네스는 호르아하의 별칭일 뿐인지 등에 대해 계속 논쟁을 벌이게끔 한다. 돌파구가 되는 새로운 자료가 발견된다면 모르겠지만 일단 이 논쟁은 당분간은 지속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분명한 것이 있다. 그것은 기원전 3100년 무렵 이집트가 최초로 통일됐고, 바로 이때 하나의 위대한 문명이 역사적 여정을 막 시작했다는 사실이다.
2021-03-1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