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민수의 고대 이집트 기행] 국박서 만난 이집트 유물(상)

[곽민수의 고대 이집트 기행] 국박서 만난 이집트 유물(상)

입력 2020-01-20 23:14
수정 2020-01-21 03: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람세스 2세를 그린 석회암 부조. 신왕국 제19왕조, 기원전 1279-1213년. 아비도스 출토
람세스 2세를 그린 석회암 부조. 신왕국 제19왕조, 기원전 1279-1213년. 아비도스 출토
지난달 16일, 국립중앙박물관의 이집트실이 문을 열었다. 기존의 아시아관을 세계문화관으로 확장하며 이집트실을 포함시킨 것이다. 그러나 국립중앙박물관은 이집트 유물을 소장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유물을 외부에서 대여할 수밖에 없었고, 그동안 교류를 해 왔던 미국의 브루클린 박물관에서 90점의 유물을 2년간 대여하게 됐다.

고대 이집트 특별전시는 그동안 한국에서도 몇 차례 열렸지만, 이집트 상설 전시관이 한국에 생긴 것은 처음이다. 비록 2년만 전시가 지속되는 ‘일시적인 상설 전시‘이지만, 앞으로 2년은 언제든 한국에서도 이집트 유물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개관은 상당히 큰 의미가 있다. 새롭게 개관한 이집트실의 관람을 돕고자 두 번에 걸쳐 전시되는 주요 유물들을 소개하려고 한다.

전시는 크게 ‘나일강‘, ‘파라오’, ‘이집트의 신들‘, ‘이집트인들의 사후세계관’, ‘문자 및 예술‘ 등의 테마로 구성돼 있다. 아무래도 유물을 대여해 꾸린 전시실이다 보니 유물의 양과 종류가 풍부하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이집트 문명을 개괄해 이해하는 데는 크게 부족하지 않다.

먼저 ‘늪지대 풍경’이라 이름이 붙여진 고왕국 시대의 석회암 부조를 통해서 우리는 고대 나일강의 풍광을 엿볼 수 있다. 이 부조에는 배를 타고 나일강에서 물고기를 잡고 있는 남성과 하마가 묘사돼 있다. 하마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나일강에서 가장 두려워하던 존재였다. 이와 같이 일상의 생활상을 그린 부조는 대체로 귀족 무덤의 벽면을 장식하던 것들이다.
이미지 확대
곽민수 더럼대 고고학과 연구원
곽민수 더럼대 고고학과 연구원
이 유물의 건너편에서는 몇몇 파라오들의 얼굴을 직접 볼 수 있다. 그 가운데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람세스 2세다. 이 파라오의 모습이 그려진 채색 부조는 세계문화관 개관 포스터에도 들어가 있을 정도로, 전시실의 대표 유물이라고 할 수 있다. 아비도스에 있는 람세스 2세의 신전에서 출토된 이 부조 속에서 람세스는 ‘네메스’라고 불리는 의례용 두건을 쓰고 있다.

람세스 바로 옆에는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의 파라오 두상들이 있다. 프톨레마이오스 6세와 클레오파트라의 아버지인 프톨레마이오스 12세인데, 이들은 모두 그리스계 혈통의 파라오들이었기 때문에 생김새가 전통적인 파라오들과는 다소 다르다.

프톨레마이오스 6세는 바로 옆에 있는 1000년도 더 전의 파라오인 람세스 2세와 똑같이 네메스를 쓰고 있다. 그런데 프톨레마이오스 12세가 쓴 관은 모양이 다르다. 이 왕관은 상이집트의 왕관과 하이집트의 왕관을 겹쳐 놓은 이중 왕관이다. 이 이중 왕관에서 안쪽에 있는 끝이 동그란 고깔 모양의 관은 원래는 하얀색으로 채색돼 있는 것으로 상이집트의 왕관이고, 그 나머지 부분은 붉은색인 하이집트의 왕관이다. 파라오들은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왕관이 합쳐진 이중 왕관을 쓰기도 했지만, 때로는 각각의 관을 따로따로 쓰기도 했다.

바로 우측에는 ‘세티 1세의 경계비’라는 이름의 유물이 있다. 세티 1세는 람세스 2세의 아버지다. 이 비석에서 세티 1세는 네메스나 상·하이집트의 왕관과는 또 다른 모양의 관을 쓰고 있다. 이 관은 ‘케프레시‘ 혹은 ‘푸른색 왕관’이라 불리는데, 파라오가 전장에 나갈 때 쓰던 일종의 투구다.

첫 번째 전시실의 중앙에는 4개의 신상들이 전시돼 있다. 고양이 모양을 한 바스테트 여신, 사자 머리를 가진 세크메트-와제트 여신, 호루스를 품 안에 앉고 있는 이시스 여신 그리고 이시스의 남편이자 저승의 왕인 오시리스 신이다. 이 가운데 이시스와 오시리스는 이집트 신화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 사이에 태어난 호루스는 파라오의 왕권과 관계가 깊은 신인데, 살아 있는 파라오는 호루스의 현현으로 여겨졌다. 그리고 사후에는 호루스의 아버지이자 저승의 왕인 오시리스와 동일시됐다.

전시 유물들에 대한 소개는 다음 회에서 이어지겠지만, 다음 회가 나오기 전이라도 국립중앙박물관을 한 번 다녀오면 좋을 것 같다. 두 번 다녀오면 더 좋고, 세 번 다녀오면 더더욱 좋다.
2020-01-2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