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수십년 악습 ‘식고문’ 계속 방치할 건가/정현용 온라인뉴스부장

[데스크 시각] 수십년 악습 ‘식고문’ 계속 방치할 건가/정현용 온라인뉴스부장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22-04-10 19:56
수정 2022-04-11 03: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뿌리깊은 軍 악습 ‘취식 강요’
“나도 당했으니 부조리 아니다”
병폐 한 번에 도려낼 대책 필요

이미지 확대
정현용 온라인뉴스부장
정현용 온라인뉴스부장
식고문. 또 무시무시한 단어가 언론 보도에 등장했다. 식고문은 억지로 음식을 먹이는 군 가혹행위다. 물고문과 똑같은 방식이다. 병영에선 도망갈 곳이 없다. 먹다가 구역질이 나도 계속 먹어야 한다.

전방 상황을 관측하는 육군 5군단의 한 병사는 최근 선임병으로부터 식고문에 시달렸다고 폭로했다. 우리는 피해 병사가 증언한 가해자의 발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피해자는 “표정 그렇게 지어도 그만하지 않을 거야. 나도 당했던 거니까. 난 이걸 부조리라고 생각하지 않아”라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

20~30년 전 군생활을 했던 사람이라면 식고문이라는 말이 낯설지 않을 것이다. 그만큼 널리 퍼져 있었고, 범죄행위라고 생각하는 이가 드물었다. 심지어 선임병의 가혹행위를 잘 참고 무사히 전역했다는 ‘무용담’을 늘어놓는 이까지 있었다.

약간의 김치를 주고 3~4인분의 밥을 먹이거나, 식사 뒤 초코파이 2~3박스를 한자리에서 먹게 했다. 특별한 이유는 없었다. 후임병이 말을 잘 듣지 않아서, 기분 나쁜 일이 있어서, 그냥 괴롭히고 싶어서 식고문을 할 뿐이다. 명백한 범죄행위였지만, 끔찍한 행위 주변엔 가해자와 방조자만 가득했다.

많은 이들은 ‘선진 병영’이라는 기치 아래 이런 악습이 대부분 사라졌을 것이라고 믿는다. 그렇지만 드러내 놓고 하지 않을 뿐 수십 년을 이어온 악습은 여전히 망령처럼 군을 떠돌고 있다.

해병대엔 ‘악기바리’라는 은어가 있다. ‘전통’이라는 이유로 내려온 해병대 특유의 취식 강요 행위다. 2017년 국가인권위원회에 의해 여론의 도마에 올랐다. 조사해 보니 이틀 동안 초코바 180개를 먹게 한 사례도 있었다고 한다.

양쪽 바지 주머니에 초코바를 가득 넣은 다음 둘 중 하나를 고르게 해 수시로 먹였다. 75㎏이었던 체중은 단기간에 85㎏이 됐다. 당시 가해 병사가 피해자에게 한 말이 있다. 그는 “해병대에 왔으니 악기바리 한번 당해 보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인권위 조사관에게도 “나도 당했다”고 항변했다고 한다. 범죄라는 인식은 그의 머릿속 어디에도 없었다.

고문을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은 탈영과 신고뿐이다. 탈영은 범죄행위다. 신고하면 가해자와 떨어져 지낼 수 있다고 하지만, ‘동료의 눈’을 피할 순 없다. 폐쇄적인 병영 문화에선 소문도 빠르다. 대대로 가혹행위를 묵인한 이들이 신고자에게 고운 눈길을 보낼 리 없다. 그래서 대부분의 피해자가 입을 닫았다. 식고문은 그렇게 계속 이어져 왔다.

군 고위직들 중 많은 이가 지난해 여름 큰 화제를 모았던 ‘DP’(군무이탈 체포조)라는 제목의 드라마를 봤을 것이다. “과거엔 가혹행위가 저렇게 심했지”라고 생각한 이가 더러 있었을 것이다. 지금도 많은 군 간부가 부대 교육으로 가혹행위를 충분히 근절할 수 있고, 특히 내가 관리하는 부대엔 단 하나의 문제도 없을 것이라고 자부한다. 피해자 존재 자체를 부인하는 이도 있을 것이다.

‘가혹행위가 없어야 한다’며 사건을 슬며시 덮어 놓는 이도 있다. 하급 장교 입장에선 군 경력에 오점을 남기지 않기 위해 문제를 숨겨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부는 가혹행위라는 걸 전혀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사건이 곪고 썩다 결국엔 언론 보도로 터지게 된다. 식고문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군에 묻는다. 지금의 병영 인권 교육으로 식고문을 근절할 수 있나.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과연 군 내부에서 진행하는 실태조사로 식고문을 근절할 수 있나. 많은 군 간부가 대놓고 식고문하는 병사들을 모른 척하진 않았나. 식고문을 잘 견디면 강군인가. 부대의 병폐를 한 번에 도려내 근절할 방법이 없다고 생각하는가. 답할 말이 없다면 악습을 근절할 의지가 없다고 봐야 한다.
2022-04-1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