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력 말살하는 수능… 교육 혁신 없으면 국가 미래도 위협”[최광숙의 Inside]

“창의력 말살하는 수능… 교육 혁신 없으면 국가 미래도 위협”[최광숙의 Inside]

최광숙 기자
최광숙 기자
입력 2024-01-08 00:58
수정 2024-01-08 16: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도연 前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정시 입시철이다. 매년 되풀이되는 입시지옥으로 수험생과 학부모들의 마음은 타들어 간다. ‘교육, 이대로는 안 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지만 정작 교육개혁은 지난 30여년 동안 한 발짝도 못 나가고 있다. 수능 개혁 전도사인 김도연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만나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미래를 위한 교육의 혁신 방향에 대한 의견을 들었다.
이미지 확대
김도연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서울신문 광화문 사옥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한날한시에 수험생 50만명을 점수로 줄 세우는 수능을 혁신해 공교육을 회복시키는 것이 교육개혁의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준석 전문기자
김도연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서울신문 광화문 사옥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한날한시에 수험생 50만명을 점수로 줄 세우는 수능을 혁신해 공교육을 회복시키는 것이 교육개혁의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도준석 전문기자
-윤석열 정부의 교육개혁이 무엇을 지향하는지 모르겠다는 지적이 많다.

“교육 분야에 갑자기 큰 변화는 있을 수 없다. 미래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과 큰 원칙을 정하고 조금씩 바꾸어 가면 된다. 10년 후, 20년 후 교육이 지금보다 좋아진다면 그것이 개혁이다. 아주 조금씩 나가는 게 바른 방향이다.”

-윤 대통령이 ‘킬러 문항’을 없애겠다고 했지만 2024학년도 수능이 유례없이 어려운 ‘불수능’이었다는데.

“수능에서 킬러 문항을 퇴출해야 한다는 데 이견은 없다. 하지만 현실을 보면, 수험생들은 변별력을 위해 배배 꼬인 문제들로 가득한 수능에서 대충 찍은 답이 맞으면 ‘수능대박’, 틀리면 ‘수능쪽박’이라고 한다. 수능 전날이면 잘 찍으라고 포크를 선물로 주고받는 게 우리 학생들이다. 21세기를 살아갈 우리 미래세대의 애처로운 모습이다.”

-왜 이런 시대착오적인 수능이 반세기 넘게 계속되고 있나.

“변별력 때문이다. 한날한시에 전국 수험생 50만명을 줄 세우려니 킬러 문항이 들어간 것이다. 학생들 서열을 매겨야 하기 때문이다.”
교육 분야 갑자기 변화할 수 없어
미래 교육의 방향과 큰 원칙 정해
10년·20년 후 좋아지면 그게 개혁

절대 오래 생각하면 안 되는 수능
정답으로 가는 길 수백 가지 있어
풀이보다 정답만 봐 창의성 결여

非교육적인 학원 선행 학습 조장
타인 배려 안 하는 경쟁만 부추겨
대입 주관식 서술형 문제 도입을
●수능은 가장 비교육적 국가 행사

-수능은 ‘물수능’과 ‘불수능’ 냉온탕을 반복하고 있다.

“‘물수능’이든 ‘불수능’이든 수능 자체가 문제다.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행하는 가장 비교육적인 국가 행사다. 영국 BBC는 수능을 세계에서 가장 고달픈 시험이라고 소개했다.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12년 교육이 수능 점수로 귀결되는 잔인한 시험이다.”

-왜 수능이 문제인가.

“헝클어진 실타래같이 문제투성이인 교육에서 풀어야 할 첫 번째 매듭이 바로 수능이다. 수능 같은 정답 고르기 시험은 훈련을 반복하면 점수를 높일 수 있다. 반복 훈련은 학원 선행학습이 가장 효율적이다. 사교육이 성과를 낼 수밖에 없다. 특정 지역이나 부유한 가정의 학생, 재수생, 삼수생이 수능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공교육이 무너진 지 오래다.

“공교육을 빈사 상태로 만든 게 수능 같은 평가방식이다. 수능 혁신을 통한 공교육 회복은 우리 사회가 미래를 설계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 다섯 개 보기 중 정답 하나를 고르는 수능은 학생의 창의력을 말살시키는 최악의 평가 방법이다.”

-학교에서 생각하는 힘을 길러 주는 교육을 해야 하는데.

“수능은 학생의 문제 풀이 과정은 보지 않고 오직 정답만 본다. 정답으로 가는 수백 가지 길에서 창의성이 나오는데 그것을 전혀 인정하지 않는다. 창의력은 한 문제에 대해 오래 생각하는 과정에서 길러진다. 지금 중고생들은 3분 이상 생각할 문제를 만나면 패스하라는 지도를 받는다. 절대 오래 생각하면 안 되는 것이 수능이다. 오래 생각하지 못하는데 어떻게 장기간 연구해야 하는 좋은 연구자나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겠나.”
이미지 확대
김도연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서울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수능은 풀이과정은 보지 않고 오직 정답만 보기 때문에 창의성과 생각하는 힘을 기를 수 없다”면서 “이런 교육환경에서 좋은 연구자나 노벨상 수상자가 나올 수 없다”고 말했다. 도준석 전문기자
김도연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서울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수능은 풀이과정은 보지 않고 오직 정답만 보기 때문에 창의성과 생각하는 힘을 기를 수 없다”면서 “이런 교육환경에서 좋은 연구자나 노벨상 수상자가 나올 수 없다”고 말했다. 도준석 전문기자
●대화 통해 서로 이해하는 교육 필요

-오로지 정답만 인정해 주는 수능이 대화와 타협 없는 사회 분위기를 만들 수도 있겠다.

“그렇다. 수능은 소통과 협력과는 상관없이 철저히 각개약진과 각자도생 능력을 키워 주는 시험이다. 학생들은 오답과 정답만 보고 산다. 세상 일에는 흑백만 있는 게 아니라 중간이 훨씬 넓고, 때론 그 사이를 왔다갔다해야 한다. 그런데 우리 교육은 대화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는 교육은 하지 않는다. 남을 도와주면 안 되고 지지 말라고만 가르친다. 그래서 수능이 가장 먼저 풀어야 할 매듭이라는 것이다.”

-우리 교육의 본질이 ‘경쟁’으로 변질된 거 같다.

“10대 청소년 자살률이 세계 최고다. 과도한 경쟁에 몰린 것이 가장 큰 요인이다. 가정교육도 문제다. 중국에서는 부모가 아이들에게 속지 말라고 가르치고, 일본은 남에게 폐 끼치지 말라고 하는데, 한국은 지지 말라고 가르친다고 한다. 부모와 학생 모두 지지 않으려니 얼마나 힘들겠는가.”

-경쟁 교육 시스템이 국가적 차원에서 보면 성과도 있지 않았나.

“그런 교육 시스템으로 국가 발전을 이룬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교육으로 흥한 나라가 지금은 교육 때문에 쇠퇴하고 있다. 거꾸로 우리 미래를 위협하는 존재가 됐다. 전 세계가 정보기술 혁명으로 엄청나게 변화하는데 우리 교육의 틀은 바뀌지 않았다. 경쟁적 교육시스템을 벗어버리고 새로운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대한민국의 미래가 걸린 일이다.”
이미지 확대
김도연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서울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수능은 소통과 협력 과정은 무시한채 각자도생 능력을 키울 뿐”이라며 “대화와 타협이 없는 우리 사회도 이런 교육 시스템과 무관하지 않다”고 했다. 도준석 전문기자
김도연 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서울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수능은 소통과 협력 과정은 무시한채 각자도생 능력을 키울 뿐”이라며 “대화와 타협이 없는 우리 사회도 이런 교육 시스템과 무관하지 않다”고 했다. 도준석 전문기자
●佛처럼 주관식 서술형 문제 도입해야

-수능을 폐지하자는 건가.

“아니다. 궁극적으로 수능은 자격시험으로 전환하고, 이를 입학에 반영하는 정도는 각 대학 자율에 맡기면 된다. 우리 수능에도 프랑스 바칼로레아 같은 주관식 서술형 문제가 도입돼야 한다. 하지만 채점의 공정성 때문에 지난 수십 년간 한 발짝도 못 나가고 있다. 전체 문항의 50%를 주관식으로 출제하는 것을 목표로 잡고 1년에 5%씩 주관식 문제를 단계적으로 늘려 가는 것도 한 방법이다.”

-주관식 도입이 어려운 것은 평가에 대한 불신 때문 아닌가.

“구성원 간 신뢰도가 낮은 불신 사회이다 보니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교육뿐 아니라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제안서에 대한 점수를 매길 때도 극단을 배제한다고 최상위와 최하위 점수를 뺀다. 그게 공정한 평가인가. 가장 높은 점수나 낮은 점수를 받은 사람들이 사실 그 분야에 대해 제대로 이해한 사람들일 수 있다.”

-대학교육 개혁도 필요하다.

“대학이 바뀌어야 초중등 교육도 따라올 것이다. 대학은 교수및 학과 중심 체제, 교육 방법 등에 대한 총체적 혁신이 시급하다.”

-교육 문제가 저출산의 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인구 감소도 교육 문제와 연결돼 있다. 대학의 서열화 때문에 지방에서 다 서울로 온다. 지방이 소멸하면 대한민국이 쇠퇴한다. 과거 지방 국립대학 중 명문대가 많았다. 그런데 요즘 지역 명문대에 합격한 학생들도 서울의 변두리 대학으로 오면서 지방대가 죽어 가고 있다.”

-최근 정부는 지방대를 위해 글로컬대학 프로그램 시행 방침을 밝혔다.

“교육 환경을 개선해 지역 대학이 좋은 인재를 배출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에서 기업들이 번성하는 것은 대한민국의 발전전략이 아니라 유일한 생존전략이다. 그러나 지역대학들을 지난 15년 동안 반값등록금으로 묶어 둔 탓에 모두 기력이 떨어졌다. 글로컬대학 사업은 바람직한 방향이다.”

-우리 교육 시스템에서 시급히 또 바꿔야 할 것이 있다면.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게 새 학년을 3월이 아니라 9월 시작해야 한다. 예외 국가는 일본과 일본 제도를 따른 한국뿐이다. 이로 인해 우리 학생들은 유학 가면 대부분 6개월을 손해 본다. 외국 학생들이 우리나라에 유학 오는 것을 기피하는 원인이기도 하다. 12개월의 교육과정을 한 달 줄여 11개월로 압축해 6년을 시행하면 9월 학기제로 전환된다.”

김도연 前 장관은

서울공대 학장 출신으로 김영삼 정부 시절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지낸 뒤 울산대 총장, 포스텍 총장,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한 교육행정가다. 창의적 인재 육성을 고민하던 포스텍 총장 시절 수능이 한국의 교육과 미래를 망치는 주범이라고 판단한 이후 수능 폐해와 교육 혁신을 역설하고 있다. 덕장 스타일로 현재 민간 싱크탱크 태재미래전략연구원 이사장을 맡고 있다.
2024-01-0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