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두진 건축가
19세기의 문학비평가 존 러스킨이라면 이러한 생각을 감상의 허위(pathetic fallacy)라고 맹렬히 비난했을 것이다. 생명도 영혼도 없는 사물에 감정을 투사하는 것은 일단 과학적 오류가 아닌가. 그러나 문학 논쟁과는 별도로, 사물에 대한 이러한 시선 속에는 오늘날 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혜가 들어 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망가지거나 잊힌 사물에서 외로움과 고통을 느끼는 것이야말로 아마도 다가오는 시대의 새로운 감수성 중 하나가 아닐까 한다. ‘한갓 사물일 뿐인데!’라는 말을 내뱉기가 점점 더 조심스러운 세상이 되어 가고 있다. 한때는 인간이, 그리고 이제 동물이 어렵게 폭력적이고 부당한 대우로부터 벗어나려는 참이다. 사물을 아무렇게나 대하는 것은 인간이나 다른 생명체를 아무렇게나 대하는 것과 결과적으로 크게 다르지 않다.
서울대 사회학과의 김홍중 교수는 코로나 시대를 논하는 어떤 모임에서 이제 인간과 인간 사이의 사회적 계약에 의해 작동되는 시대는 지나고, 인간과 다른 생명체 사이의 새로운 계약이 필요한 시대가 오고 있는 것 같다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백 번 공감 가는 말이다. 여기 조심스럽게 하나를 더하자면 기타 무생물, 즉 사물도 이제 그 계약의 테이블로 초대해야 할 시점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세상을 구성하는 모든 생물과 무생물이 지속적 공존이라는 커다란 주제에 모두 편입되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건축가인 입장에서는 건물을 사용하는 인간과 다른 생명체에게 안전과 쾌적함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벽돌 한 장이나 시멘트 한 포대가 오랫동안 자기 몫을 다할 수 있도록 신중하게 구상하고 계획하는 것이 이 역사적인 다자 간 계약의 테이블에 임한 자신의 소명임을 새삼 깨닫는 계기일 수도 있겠다.
일상의 삶에서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다행히 지금은 잊히고 버려진 사물에 새로운 삶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놀랍게 확대되고 있는 시대이기도 하다.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는 다양한 물물교환 플랫폼은 남녀노소,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당연히 참여해야 하는 일종의 시대적 교양이 됐다. 누구에게나 사용하지 않는 물건은 있게 마련인데, 적당한 가격과 절차에 의해 그 물건에 새로운 사용자를 구해 주는 것은 결국 또 다른 방식의 환경운동이다. 파는 사람은 외로워하는 사물을 구해 줄 뿐 아니라 약간의 용돈이 생겨서 좋고, 사는 사람은 교환가치를 훨씬 상회하는 사용가치를 지닌 사물을 구하게 되어 좋다. 지구는 천연자원을 덜 낭비하고 사물의 과도한 잉여 생산을 피할 수 있으니 또한 즐거워할 것이다. 제조업체, 그리고 과세 당국 정도가 이 현상을 다소 복잡한 심정으로 바라보고 있겠지만, 그들 또한 그 필요성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인연이 다한 사물이 빠져나간 그 자리에는 역시 또 다른 사물이 일부 들어올 것이다. 그 과정이 신중하다면 결국은 대체불가의 소중한 인연만이 주변에 남을 것이다. 많은 사람이 나이 들어서야 주변을 정리하려 들지만, 사실 그 일을 시작하기 가장 좋은 시점은 누구에게나 같다. 바로 지금이다.
2021-08-2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