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집 공군사관학교 교수부 역사·철학과
철학개론 수업은 연대별로 철학자들을 소개하는 식으로 진행했었습니다. 사실 부끄럽고 불만족스럽습니다. 생도들은 제 강의가 딱딱하지 않아서 좋아합니다. 토론도 자주 시키고 좋아하는 클래식 음악, 책, 영화 얘기도 해 줍니다. 인문학과 철학을 즐기는 모습을 보여 주려 노력하지만, ‘철학하는 법’은 못 가르친 것 같습니다. 철학의 종류도 여러가지겠지만, 저에게 ‘철학’은?‘깊다’는 것은? 어떤 태도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서양철학사의 흐름을 아는 것도 중요하고 논리의 기술을 익히는 것도 유익할 것이지만, 철학자답게 고민하고, 사고하는 데에는 큰 도움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시몬 베유나 비트겐슈타인은 어떻게 가르쳤을까 시간 여행을 해서 직접 보고 싶습니다.
다음 학기 철학개론은 조금 다르게 운영해 볼 생각입니다. 주제별로, 그리고 과학과 철학이 만나는 연결점과 연관지어 강의할까 합니다. ‘지금이 참 철학하기 좋은 시대’라는 것을 보여 주고 싶습니다. ‘비과학적인’ 얘기같이 들릴 수 있는 철학이, 생도들에게 더 쉽게 가닿지 않을까 해서입니다. 예를 들어 수철학에서 수학의 기반을 확립하려 했던 얘기, 힐베르트, 괴델, 튜링 얘기도 함께 하려 합니다. 요즘엔 저도 수학과 컴퓨터 공학에 관심이 많이 갑니다. 스탠퍼드와 실리콘밸리 생활 때문에 그런지도 모르겠습니다. 선생님께서 인공지능(AI)을 연구하셨다니 정말 흥미롭습니다.
교양인문학 수업은 겨울방학이 끝나고 처음 시작합니다. 제가 전공한 그리스로마의 문화, 역사, 문학을 생도들에게 보여 주고 싶습니다. 이 강의의 큰 축은 ‘압축’과 ‘경쟁’이라고 소개할 계획입니다. 나름 멋 부려 봤습니다! 서양문명의 흩어져 있는 여러 요소들을 단숨에 ‘압축’하는 좋은 방법 중 하나가 그리스로마 공부인 것 같습니다. 헤로도토스로 동양과 서양의 개념을 이해하고, 베르길리우스를 통해 ‘국가시인’을 이해하는 겁니다. ‘경쟁’은 제가 피렌체 박물관에서 브루넬레스키의 편지를 보고 인상 깊어 생각이 났습니다. 브루넬레스키가 친구에게 “우리는 그리스인들보다도 아름다운 건축을 만들어야 한다”고 당부하는 대목이 머릿속에 오래 남았습니다. 이상에 가까운 경쟁자가 늘 있다는 건 큰 축복입니다. 생도들도 그리스로마의 영웅과 같은 인물과 그들의 업적을 보고 평생 ‘나만의 경쟁자’가 생겼으면 합니다.
선생님의 편지를 읽고 오랫동안 잃고 있던, 제가 보고 싶은 제 본모습을 되찾는 기분이었습니다. 어떻게 감사드릴지 모르겠습니다.
요즘은 니체를 많이 읽고 있는데 신념(이랄까 니체식 신앙)을 지키고 싶습니다.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2022-03-01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