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즐거운 휴식/김현집 공군사관학교 교수부 역사·철학과

[2030 세대] 즐거운 휴식/김현집 공군사관학교 교수부 역사·철학과

입력 2022-01-17 20:20
수정 2022-01-18 01: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현집 공군사관학교 교수부 역사·철학과
김현집 공군사관학교 교수부 역사·철학과
걱정이 쌓이면 눈을 감고 마비되고 싶다. 러시아 작가 곤차로프의 소설 주인공 오블로모프처럼 침대 속으로 자기를 유배시키는 거다. “하루가 지나고 밤이 왔기 때문에, 오늘 무엇을 위해 살았는지, 내일 무엇을 위해 살지 같은 지겨운 질문을 잠 속으로 묻어 버릴 수 있기에, 행복하다”는 오블로모프다. 휴식은 권리다. 현대인의 상징이다. 휴식하는 사회가 계몽된 사회같이 느껴진다. 일만 하는 건 무식하다. 세련되지 못하다. 일을 더 잘하려 해도 쉬어 가며 해야 한다. 내가 아는 영국인들은 치열한 걸 좋아하지 않는다. 첫째, 우아하지 않고(혹은 신사적이지 않고) 둘째, 과학적이지 않다. 휴식은 생리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한국도 바뀌고 있다. 먹으며 휴식하고, TV 보며, 또 TV에서 남이 먹는 모습을 보며 휴식한다. 한국과 일본 TV를 보면 늘 누군가 먹고 있다.

휴식은 망각이다. 휴식이 끝나면 어떤 힘이 생기는가? 휴식의 반대를 ‘피로’라고 치자. 여기에 오류가 있다. 동물도 위험에 처하면 몸을 뻣뻣이 하고 쓰러져 죽은 척한다. 문제는 왜 누구나 휴식해야 하는지, 왜 휴식을 원하는지 의심해 보지 않는 것이다. 휴식을 갈망하는 것은 노예의 본성이라고 프리드리히 니체는 말했다. 노예는 힘이 없다. 노예의 삶은 당하는 삶이다. 자기가 당하는 고통을 막거나 고발할 능력도 없다. 그런 노예에게 ‘행복’이란 휴식이다. 자신의 머리 위로 떨어지는 폭력이 멎는 시간이다. 숨을 돌릴 기회인 것이다. 멍하니 쉬는 것, 평화, 안정, ‘다시 말해 수동적인 것’이다.

반대로, 주인은 힘이 넘친다. 권력자다. 누가 자신을 알아 줄 필요도 못 느낀다. 자기와 같은 부류면 좋은 것이다, 곧 자기긍정적이다. 넘치는 힘은 자연스럽게 행동으로 이어진다. 주인은 휴식이 아닌 행동에서 ‘행복’을 찾는다. 니체의 노예도덕(Sklavenmoral)과 주인도덕(Herrenmoral) 얘기다.

니체는 투박한 철학자가 아니다. 노예는 ‘은신처와 지름길과 뒷문을 사랑하고’, 침묵하고, 원한을 잊지 않고, 기회에 따라 자신을 낮추고, 열등감과 증오로 마음에 독이 오른 사람이라고 했다. 반대로 주인은 관대하고, 정직하고, 쉽게 잊고, 엄격하고, 밝은 곳을 추구하고, 무엇보다 강하다 했다. 하지만 니체는 우리 모두가 ‘주인’이 되기를 바랐을까? 노예의 목소리도 주인의 목소리도 빌리지 않고 나만의 목소리를 찾아야 한다고 보았다. 주인은 노예를 경멸하지만 노예는 주인을 ‘악’으로 부른다. 그리고 자신을 겸손한 ‘선’으로 부른다. 이것이 도덕의 계보라고 니체는 말한다. 그리고 덧붙인다. 언제든 한 사람, 한 영혼의 내면에도 노예도덕과 주인도덕이 공존하거나 대립할 수 있다고.

늘 부족하다는 휴식을 즐거운 연휴에 어떻게 보상받을까 하고 생각해 본다. 하지만 더한 고민은 ‘나는 왜 휴식을 원하는가’이다.

2022-01-1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