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명묵 작가
그들은 자신들 신념이 얼마나 굳건한지를 과시할 것이고, 다른 무슬림들이 타락한 삶을 살고 있다고 비난할 것이다. 중국에 대해서도 비슷한 구도를 확인해 볼 수 있다. 우리는 “공산주의는 그저 붉은 자본가들이 권력을 위해 던지는 수사에 불과하다”는 말을 으레 한다. 하지만 중국 공산당의 충실한 당원이 이런 말을 듣는다면 중국의 현재 자본주의적 체제가 공산주의적 비전에 어떻게 부합하는지 일장 연설을 늘어놓을 것이다.
요는 탈레반이 믿는 것이 진짜 이슬람인가, 중국 공산당이 주장하는 것이 진짜 공산주의인가를 따지는 것이 아니다. 자신들은 그 신념을 따르고 있다고 그들이 강하게 믿고 있다는 사실이 중요한 것이다. 신념이라는 이름의 인식 틀은 가치 평가 기준을 만들고 명분을 형성하고, 거기서 최종적인 행동이 발생한다.
우리는 자신의 상식에 심히 배치되는 이들을 보면, ‘숨은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닌지 의심하고는 한다. 상대방의 세력이 더 클수록 그러하다. 우리의 인식 틀에 비춰 보았을 때 저런 말도 안 되는 신념을 제정신으로 믿고 있다고 받아들일 수 없어서 그러는 듯하다. 그래서 우리는 상대방을 광인이거나 혹은 우리에게 쉽게 납득되는 ‘이득’을 위해 신념을 ‘이용’하는 사람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상대방도 우리를 볼 때 마찬가지로 생각한다는 사실은 망각된다. 빈 라덴은 미국이 주장하는 성평등의 진짜 목적은 여성을 이윤을 위해 착취하려는 자본주의적 음모라고 보았다. 중국은 몇 년에 한 번 치러지는 민주주의 선거는 실질적 지배자들의 전횡을 일반 대중에게 감추려는 눈속임에 불과하다고 깔본다. 하지만 이런 비난과 달리 서방 세계는 성평등과 민주주의의 참된 가치를 진심으로 ‘믿는다’. 그렇다면 우리가 탈레반이나 중국 공산당이 정말로 자신의 신념을 믿는지, 믿지 않는지 판단할 근거 또한 취약해진다. 그들은 배후의 ‘이득’을 위해 신념을 이용하지 않고, 오히려 신념 자체가 목적인 경우가 많다. 서방 세계에서 자유민주주의와 인권이 목적으로 기능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신념의 차이에도 우리는 모두 같은 인간이기에, 서로 다른 믿음 사이에서 공통점을 찾아내고 합의의 기반을 발견할 수 있다. 상대방의 진짜 목적을 이득에 있다고 판단하는 것 또한 진실의 중요한 일면을 포착하고 있다. 하지만 신념의 차이를 무시한 채 ‘숨은 진짜 동기’를 찾아내려는 시도는 상대방이 우리와 똑같이 행동할 것이라는 성급한 사고로 이어지기 쉽다. 하지만 가족과 친구 간에도 사람은 똑같이 행동하지 않는데 어떻게 신념이 다른 상대방이 똑같이 행동하기를 기대할 수 있을까?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