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혜 주부
그러고 나면 대개 허탈하다는 눈빛이 되돌아온다. 아마도 뻔하고 상투적인 대답에 대한 실망감 때문이려나. 마치 대학수학능력시험 만점자들의 “교과서 위주로 공부했다”는 소감처럼. 하지만 사실이 그러하므로 어쩔 수가 없다. 타고난 운동신경이나 신체 조건에 따라 발전 속도의 차이는 있겠으나 꾸준히만 한다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운동이라는 부분에는 변함이 없다.
이리 말하는 나도 알고는 있다. ‘꾸준히’야말로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주문임을 말이다. 잘하는 일을 꾸준히 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크게 힘이 들지도 않고 흥이 난다. 하지만 잘 못하는 일이라면? 동화 ‘토끼와 거북이’는 아무리 뛰어난 재능이라도 꾸준한 노력을 당해 낼 수 없음을 강조하지만, 아마 동화가 아닌 현실에서였다면 애당초 ‘느림’의 상징과도 같은 거북이가 달리기를 하겠다고 결심하는 일도, 날쌔고 빠른 토끼와 겨루겠다고 나서는 일도 없었을 것이다.
3개월 전 칼럼에서 나는 성취감이 타인과의 비교에서가 아닌 나 자신의 발전에서 나오는 것임을 깨달았다고, 그것을 운동하는 과정에서 배웠다고 적었다. 그러나 고백건대 결코 쉽지만은 않았다. 아무리 남과 비교하지 않으려 해도, 다른 사람들을 의식하지 않으려 해도 마주하지 않을 수 없었다. 수업시간에 모두가 성공하는 동작을 나만 실패하는 광경을. 누군가는 바로 습득하는 쉬운 동작을 나는 아무리 반복해도 할 수 없다는 사실을.
그럴 때면 매 순간 지금 내가 하는 일이 시간낭비가 아닌지 의심하며 견뎌야 했다. 미리 지불한 수강료만 아니었다면 곧장 그만두고 싶을 만큼 괴로운 순간이 많았다. 그럼에도 별다른 방법이 없어서 지속했고, 그런 와중에 깨닫게 됐던 것이다. 다른 사람보다는 못할지 모르지만 어쨌든 어제의 나보다는 좋아지고 있다는 사실을. 그만두지 않는다면, 초라하고 못난 나의 모습을 받아들이면서 계속 하기만 한다면 나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그러다 보니 범접하기 힘들 정도로 어려워 보이던 동작도 어느 틈에 능숙하게 할 수 있게 됐고, 아무리 노력해도 불가능하던 동작 역시 할 수 있게 됐다. 비단 폴댄스뿐만이 아니라 무엇이든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무언가를 꾸준히 한다는 건 어쩌면 자신의 초라함을 견디는 것의 다른 말인지도 모르겠다.
2021-10-0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