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누리 스마트스터디 IR & 기업전략 리더
첫 번째와 세 번째 부류에 대해서는 늘 고마움을 느끼고, 살면서 어떻게든 그들의 삶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그 고마움을 갚고 싶다는, 일관적이고도 간단한 결론에 매번 도달하는데. 오늘은 두 번째 부류, 즉 멀어진 이들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됐다. 여기서 ‘멀어진’이란 크게 싸우거나 어떤 갈등 상황이 있어서 연을 끊은 것이 아니라 영화 스크린에서 페이드아웃되듯이 서서히 희미하게 내 삶에서 사라져간 인연을 말한다. 결과적으로는 나와 무언가 결정적으로 맞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그렇게 됐을 텐데, 그게 무엇일까.
잠시 생각해 보니 한 가지 공통점이 떠올랐다. 다들 ‘한 예민 하는’ 사람이더라는 것. 사소한, 주로 타인의 언행에 쉽게 신경이 거슬리고 더 나아가 내면에 화를 쌓는 사람들. 여기서 잠깐, 그러면 이런 말하는 나는 매우 둥글둥글한 사람이냐 하면 전혀 아니다. 나도 싫어하는 것 많고 무엇 하나 조금만 마음에 안 들어도 마음 한구석에서 가시가 일어나는 사람이다. 다만 마흔을 코앞에 두고 지난 몇 년간 종종 이런 생각을 한다. 지난 39년 동안 참 평탄하게 살아왔구나라고. 늘 운이 좋았고, 지금도 그렇다고. 그래서 항상 감사하자고 다짐한다. 운이 좋은 삶을 살아온 사람의 의무는, 나만큼 운이 좋지 못한 사람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라고 믿는다.
그래서 “나 예민한 사람이다”라는 기운을 거리낌없이 뿜어내는 사람들을 보면, 찬찬히 살펴본다. 그들의 그 ‘예민함’이 자신들만큼 운이 좋지 못한, 사회에서 더 차별받고 힘없는 이들을 대상으로 자행되는 크고 작은 폭력에 대한 예민함인지, 그렇지 않으면 단순히 자기 기분을 거스르는 것은 아주 조그만 것도 참을 수 없을 뿐인 자기중심적 이기심인지 말이다.
30대도 후반쯤 되면 어느 순간 몸이 예전 같지 않음을 덜컥 느끼고, 갑자기 안 하던 운동에 관심이 높아진다. 그런데 몸 건강만큼 중요한 것이 마음 건강이다. 그리고 마음 건강을 얻는 방법도 몸 건강을 얻는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평소에 안 쓰던 근육을 의식적으로 많이 움직여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고, 관절이 굳지 않고 항시 유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트레칭 자주 하는 것. 나 이렇게 예민한 사람이야, 늘 칼날같이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 신체로 따지면 거북목에 다리 꼬고 앉아서 온몸에 잔뜩 힘주고 있는 것과 똑같다는 이야기다. 그리고 누구나 다 알겠지만, 이렇게 마음 건강이 나빠지면 그 누구보다 본인이 제일 괴롭다.
벌써 9월도 며칠 안 남았지만 아직도 올해가 석 달이나 남아 있다. 규칙적인 몸 운동처럼 마음 운동으로 더 행복해지는 시간은 아직도 충분하다.
2021-09-2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