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혜 주부
첫 주에는 팔과 어깨가 아파서 수저도 잘 들지 못했다. 둘째 주에는 허벅지 안쪽이 온통 새카맣게 피멍이 들었다. 셋째 주에는 손바닥 껍질이 벗겨졌다. 넷째 주에는 근육통으로 잠을 이루지 못했다. 밤새 끙끙 앓으며 대체 몸이 왜 이렇게 아픈 것일까 고민하는데, 생각해 보니 안 아프면 더 이상한 것이었다. 쇠몽둥이로 두들겨 맞다시피(?) 했으므로. 여전히 전신을 바짝 긴장시킨 채로 폴에 대롱대롱 매달려 있을 때마다 생각하곤 한다. 나는 누군가. 또 여긴 어딘가. 나는 왜 고통을 자처하고 있는가.
이처럼 폴댄스에 빠져 지낸 이후로는 만나는 지인들마다 물어본다. “그게 그렇게 재밌어요?” “엄청 힘들 것 같은데 왜 재밌지?” “아플 것 같은데 어떻게 참고 해요?” 이런 질문을 들을 때마다 “네! 재밌어요!” 하고 확신에 차서 대답하곤 했지만, 솔직히 말하면 나 스스로도 뭐가 그리 재미있는지 이유는 잘 몰랐던 것 같다. 힘들고 아픈데. 그러다 곰곰이 생각해 보니, 그 재미의 정체는 어쩌면 성취감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다.
폴댄스 수업에서의 나는 여전히 초보이며 수업시간에 열등생에 가까운 존재이지만, 이제는 3개월쯤 지났다고 같은 동작을 하더라도 더 아름답게,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됐다. 팔꿈치 안쪽이나 무릎 안쪽을 폴에 걸고 버틸 때 느껴지던 눈이 번쩍 뜨일 정도의 아픔 또한 한결 참을 만해졌다. 폴에 매달릴 수 있는 시간 역시 1분가량으로 훌쩍 늘어났다. 5초나 버틸까 말까 하던 첫날에 비하면 비약적인 성과다.
성취감. 오랫동안 나는 이 성취감이라는 것이 바깥으로부터 온다고 생각했다. 그렇기 때문에 타인에게 인정을 받는 것, 남보다 뛰어난 것이 더 중요하다고도 생각했다. 남들과 비교해 나보다 뛰어난 사람이 있으면 질시하고, 나보다 못한 사람이 있으면 우월감을 느꼈다. 그러나 질시는 곧 열등감으로 이어졌고, 우월감 역시 언제 사라질지 모르는 위태로운 감각이었다. 그 끝은 늘 스스로에 대한 자괴감으로 돌아왔다.
이제 나는 성취감이 아주 작은 변화에서 올 수 있다는 것을 안다. 비교의 대상은 오로지 나 자신뿐이라는 것 또한 안다. 과거의 나보다, 어제의 나보다 아주 약간 더 좋아진 오늘의 나. 어제보다 조금 더 오래 매달리고, 어제는 안 되던 동작을 성공시키고, 같은 동작이라도 보다 정교하게 구현해 낼 수 있게 된 나. 비록 어제는 실패했지만 그것을 오늘 다시 시도해 보는 나. 그것이 무엇이든 어떤 것을 과거보다 능숙하게 할 수 있게 된 나. 그러면서 나는 스스로를 조금 더 좋아할 수 있게 된 것 같다.
2021-06-1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