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누리 스마트스터디 IR&기업전략 리더
수십 장의 계약서를 인쇄해서 한 장 한 장 간인을 찍거나, 백 통이 넘는 주주총회 소집통지서를 일일이 손으로 접어 봉투에 넣고 풀칠하면서 “이게 지금 내 짬밥에 할 일인가” 자조 섞인 불평을 하기도 한다. 이번에는 기필코 사람을 뽑아야겠다고 궁시렁거리기도 하지만, 사실은 홀몸이 편할 때가 더 많다. 조직장이 되어 챙겨야 할 부서원이 생기면, 말 그대로 ‘관리’에 많은 시간과 품이 들기 때문이다.
모든 주니어들이 그렇듯이, 상사가 부당한 지시를 하거나 귀찮은 일을 떠넘기는 것이 너무 싫었던 어린 시절에는 위로 올라가면 모든 것이 저절로 해소될 줄 알았다. 그런데 웬걸, 처음으로 밑에 사람이 생기고 보니 신경 쓰이는 일이 이렇게 많을 줄이야. 더욱이 나는 요즘 세간에서 “낀 세대”라 부르는 전형적인 샌드위치 30대 후반이고, 내 밑의 주니어들은 전 세계가 무서워하는 바로 그 MZ세대인 것이다.
대기업을 나와 첫 스타트업에서 만난 91년생 주니어에게 “회사에서 대외적인 커뮤니케이션은 기본적으로 (메신저가 아닌) 이메일로 해 주세요”라고 얘기했다가 면전에서 “너나 잘하세요”라는 말을 들었을 때의 컬처쇼크를 아직도 잊을 수 없다. 내가 아직 대기업 물이 안 빠져서 그런 건가, 이게 말로만 듣던 스타트업 문화인 건가, 이게 정상이고 이 상황에 경악하는 내가 비정상인 건가. 순간적으로 가치관에 혼란이 오면서 내가 과연 이 세계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인가 자신이 없어졌었다.
두 번의 이직을 거쳐 이제 세 번째 스타트업에 안착했지만, 여전히 주변에는 20~30대 초반 직원들이 절대적으로 많고, 나는 그들 나이 때 내가 그랬던 것처럼 윗사람의 심기를 살피기보다는, 나보다 한참 나이 어린 친구들 눈에 내가 그저 능력도 역량도 없이 타이틀만 차지하고 있는 ‘노땅’이 아닌지 더 눈치를 본다. 실력도 실력이지만, 말이 안 통하는 꼰대가 되지 않기 위해 말 한마디를 하더라도 상대방 입장에서 한 번 더 생각해 보게 된다.
한편으로는 억울하고 한편으로는 스트레스받지만, 다시 생각해 보면 그래도 ‘라떼’(나때는)와 비교하면, 윗사람이 아랫사람 눈치를 보는 세상이 그 반대보다 더 낫다는 생각을 한다.
나도 모르게 “요즘 애들은”이라고 한탄하지만, 세상은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는 생각도. 그러니 꼰대로 보이지 않으려고 발버둥칠 시간에 차라리 필요할 때 언제든지 연락할 수 있는 쿨하고 멋진 큰언니, 큰누님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나 고민해 봐야겠다.
2021-06-1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