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칭찬의 기술/한승혜 주부

[2030 세대] 칭찬의 기술/한승혜 주부

입력 2021-05-13 20:36
수정 2021-05-14 01: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승혜 주부
한승혜 주부
한 모임에서 있었던 일이다. A가 최근 울적한 일이 많아 속상하다며 아무거나 상관없으니 자신에게 뭔가 좋은 이야기를 해 달라고 했다. 그러자 곁에 있던 B가 이런 말을 했다. “A님은 우리 모임에서 훌륭한 사람 랭킹 5위 안에 드는 사람이죠!”

그 순간 나는 무척 놀라고 말았다. 저 말을 지금 ‘좋은 말’이라고 한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냥 훌륭한 사람이라고 하면 충분할 것을, 어째서 거기에 ‘랭킹’이 붙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훌륭함’의 기준은 무엇인지, ‘5위’라는 수치는 어디에서 나왔는지, B가 어떤 자격으로 그것을 판단할 수 있는지, A를 제외한 나머지 네 명은 누구인지, 그들도 그러한 평가에 동의했는지 알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날 나를 포함해 그 자리에 있던 다른 이들은 그 말로 인해 졸지에 B로부터 평가의 대상이 되고 말았다.

물론 B가 유난한 경우는 아니다. 사실 살면서 심심치 않게 마주하는 풍경이기도 하다. 사람들은 소위 ‘칭찬’이랍시고 아주 쉽게 말하곤 한다. “너는 내가 아는 예쁜 얼굴 3위 안에 들어가는 사람”, “내가 아는 똑똑한 사람 열 손가락 안에 꼽는 사람”, “내가 아는 재미있는 사람 랭킹 5위 안에 들어가는 사람”이라고 말이다. 어려서부터 성적을 비롯한 각종 수치에 따라 줄세우기를 당하고 ‘평가’하는 문화에 자연스럽게 노출된 탓이려나.

나는 이런 ‘평가’의 말들이 과연 ‘칭찬’인지 의심스럽다. 평가라는 것은 일방적이기 마련이고 평가당하는 대상은 동의하든 동의하지 않든 그러한 평가에 자동으로 귀속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타인과의 관계에서 가장 손쉽게 우위를 점하고 권력을 잡는 방법은 그 사람을 평가하는 것이기도 하다.

칭찬이란 호감의 또 다른 표현인 경우가 많다. 그리고 누군가에게 호감을 느끼는 것은 그 사람의 고유한 부분을 발견하면서 시작된다. 영화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에서 주인공 두 사람은 서로의 얼굴을 마주 보며 그간 서로에게서 ‘발견’한 것들, 그러니까 상대가 당황할 때는 어떤 표정을 짓는지, 기쁠 때는 눈이 어떻게 빛나는지, 입술을 다무는 것은 어떤 감정의 표현인지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바로 그 순간 본격적인 사랑에 빠진다. 상대가 ‘진짜’ 나를 봐 주었다는 생각이 들었을 때, 나의 내면을 이해하고 나를 깊이 들여다보았다는 생각이 들었을 때 마음의 문이 열리면서 서로에게 보다 깊은 감정을 느끼게 된 것이다.

나는 칭찬 역시 이와 같은 고백의 기술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본다. 칭찬이란 결국 누군가의 고유성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남과 비교해 더 낫고 못하고, 더 열등하고 우월하고의 측면이 아니라, 그가 어떤 측면에서 남과 ‘다른지’, 어떤 ‘고유성’을 가졌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 진정 좋은 칭찬이라고 생각한다. 애정을 바탕으로 상대를 지켜보면 알 수 있는 것들이다. 굳이 순위를 매겨 남과 비교하지 않더라도 말이다.
2021-05-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