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집 공군사관학교 교수부 역사·철학과
뇌는 정보를 오는 대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쉴 틈 없이 우리의 경험을 걸러 내고 미리 계산하고 예측한다. 영국에서 ‘인지철학’(cognitive philosophy)이란 독특한 과목을 가르치는 앤디 클라크 교수는 이를 ‘예측처리’(predictive processing)라고 부른다.
이에 따르면 인간은 손으로 도구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도구를 통해 생각을 ‘다르게’ 다룬다. ‘예측처리’하는 뇌는 연필을 쥔 손이 어떻게 움직일지도 계속 고민한다. 연필은 필기도구일 뿐 아니라 우리의 사고방식을 바꾼다. 이 현상을 클라크는 ‘확장된 정신’(the extended mind)이라고 불렀다(‘mind’는 번역하기 까다로운 단어다. 흔히 사용되는 ‘마음’은 오역에 가깝다). 우리의 정신은 뇌에서 끝나지 않는다는 뜻이다. 우리의 몸, 손에 익숙한 물건, 이 모두 정신의 연장 혹은 도구인 셈이다.
그렇다면 스마트폰이라는 도구는 우리 정신을 어떻게 바꿔 놓았을까?
군대에 들어와 처음 몇 달 동안 훈련소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는 경험을 했다. 불편했지만 뭔가 개운한 것이, 내 몸이 가벼워진 것 같은 뜻밖의 경험이었다. 다시 휴대전화를 쓰게 됐을 때 터치스크린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잠시 헷갈렸다. 수개월 동안 치지 못했던 피아노도 건반에 손가락을 올리면 곧 익숙해졌는데, 스마트폰은 ‘버튼이 어디에 있지’ 하며 헤맸다.
옥스퍼드대의 철학 교수 데릭 파핏(1942~2017)은 사유 과정에 의식적인 생각은 거의 없다고 봤다. 예를 들면 사람의 뇌 안에는 고급 공무원이 한 명 앉아 있다. 그가 종이에 ‘문제’를 하나 적고선 그것을 서류함에 넣는다. 그러면 저 ‘안쪽 방’의 공무원들이 그 ‘문제’에 대해 열심히 고민한 다음 답을 찾아 다시 서류함에 넣어 두는 식이다. 파핏의 사유 방법이다. 위대한 철학자가 아니라도 샤워를 하거나 화장실에서 아이디어가 문득 떠오르는 경험은 누구나 했을 것이다. 무의식 속에서 일하는 공무원들 덕분이다.
그 무의식의 공간을 스마트폰이 채우고 있으면 생각에 장애가 오는 것은 당연하다. 스마트폰을 곁에 두고, 사용하지 않으려고 끝내 유혹을 뿌리친 사람도 인지능력이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마트폰이 옆에 있는 것만으로도 영향을 받는 탓이다. 스마트폰에 대한 연구는 이미 시작됐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순간이 아니라 사용하지 않는 순간에도 우리의 무의식이 흐르는 것이다.
갈수록 스마트폰 의존이 심해진다. 의존은 중독으로 이어지고 중독은 폐해를 가져온다. 어떻게 사유해야 할지 모르겠다. 세상을 보는 눈이, 세상을 이해하는 뇌가 달라졌으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이 없는 세상은 더이상 상상할 수 없게 됐으니까.
숙제 하나가 또 늘었다.
2021-03-1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