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딴짓을 장려하는 회사를 꿈꾼다/박누리 스타트업 IR 리더

[2030 세대] 딴짓을 장려하는 회사를 꿈꾼다/박누리 스타트업 IR 리더

입력 2020-09-17 20:42
수정 2020-09-18 01: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누리 스타트업 IR 리더
박누리 스타트업 IR 리더
글쓰기와 회사일이 비슷하다고 느낄 때가 종종 있다. 도무지 이번 달에는 무슨 이야기를 써야 좋을지 감도 안 잡히는 원고처럼, 회사일도 무에서 유를 끄집어내야 할 때, 아이디어를 짜내야 할 때가 가장 어렵다. 물론 정해진 매뉴얼대로 부지런히 처리하면 자기 소임을 다하는 업무도 있지만, 단순히 키보드 위를 미친 듯이 달리는 손가락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직무도 그 못지않게 많다. 업무의 많은 부분이 정형화하거나 순서도로 표현되지 않은 스타트업은 특히 더 심하다. 그래도 무엇을 어떻게 풀어낼지 흐름만 잡히면 밤을 새워서라도 하면(쓰면) 된다.

이렇게 일이(글이) 막혔을 때 필요한 것은 딴짓과 멍하니 있기(속칭 ‘멍 때리기’)이다. 사람의 뇌란 하나를 골똘히 생각할수록 거기에 대해 창의적이기를 거부하는 속성이 있는 것 같다. 집중하면 집중할수록 이게 아니다 싶을 때는 과감하게 딴짓을 할 필요가 있다.

페이스북에 접속해서 친구들의 포스팅을 하나씩 읽기 시작했다. 심오한 정치경제 분석부터 일상의 잡문까지 남의 글들을 읽다 보면 어느새 한 곳에서만 쳇바퀴를 돌던 의식의 흐름이 자유로워지고, 문득 그래 다음달에는 나도 이런 이야기를 좀 써봐야겠다 싶은 생각이 드는 그 순간, 조금 전까지 만들고 있던 프레젠테이션이 퍼뜩 떠올랐다.

번개같이 페이스북 창을 닫고 파워포인트 창을 띄운다. 막연하게 ‘아, 마음에 안 드는데’라고만 생각했던 내용인데, 이제는 무엇이 문제인지 명확하게 눈에 들어온다. 과감하게 그때껏 작업했던 내용을 완전히 갈아엎었지만, 전혀 아깝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다.

딴짓의 힘이란,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시각으로 사물을 보게 해 주는 데에 있다. 일에만 몰입해 있을 때에는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것이, 어느 순간 당연하지 않게 보이는 그 순간의 짜릿함.

그런데 사실 회사에서는 이런 딴짓을 할 수 있는 여유가 거의 없다. 눈을 돌려 다들 열심히 일하는 동료들을 보면 공연히 미안해지고, 월급 주는 회사에는 태업하는 기분이라 누가 뭐라고 하지도 않는데 도둑이 제 발 저리는 죄책감이 든다.

하지만 단언컨대 모니터를 잡아먹을 듯이 노려보고 있던 그 몇 시간의 성실함보다 30분의 달콤한, 아니 멍한 근무 태만이 훨씬 더 멋진 결과물을 탄생시켰다.

입장을 바꿔서 내가 사장님이라면 펄쩍 뛸 소리일지는 모르겠으나, 나는 종종 딴짓을 장려하는 회사를 꿈꿔 본다. 마감의 압박에도 꿈쩍하지 않고 머릿속 깊숙한 곳에서 움직이기를 거부하는 나의 마지막 창의력 세포마저 끄집어내서 회사님께 바치기 위해서 말이다. 아무리 마감이 무서워도, 없는 아이디어가 떠오르지는 않는다.

만약 마감의 힘이 창의력의 원천이라면 매일 마감해야 하는 신문기자들이 에디슨과 스티브 잡스가 되지 않았겠는가.
2020-09-1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