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신 건설 인프라엔지니어
고택에서 멀찍이 보이는 국도는 일제강점기 조성된 신작로였는데, 아스팔트로 포장된 것은 1980년대의 일이라고 한다. 재미있는 사실은 1960년대 말 인근에 경부고속도로가 지어질 때 친구들이 공사현장에 가서 많이 일했는데, 고속도로가 개통되고 나서 친구들이 와서 자동차에 물컵을 올려놓고 가는데 물이 쏟아지지 않는다고, 세상에 이런 신기한 도로가 생겼다고 했다는 것이다. 어르신은 그 이야기를 듣고도 믿지 못했고, 정말 고속도로에 가 보고는 전에 없던 새로운 광경에 감탄을 금하지 못했다고 하셨다.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집에서, 반백년가량 된 과거의 이야기를 듣는 것은 무척이나 흥미로운 일이었다. 그러고 보면 우리가 아스팔트 도로가 당연하다 느끼는 것도 그리 오랜 역사는 아니다. 삼십년 전만 하더라도 시골 신작로에 차량 한 대만 왔다 가도 온 동네가 흙먼지로 가득했던 것이 우리나라의 일상이었던 것이다.
우리는 잘 인식하지 못하지만 통계상 도로의 분류 중 시·군도의 경우는 2000년까지도 포장률이 60.4%에 불과했다. 이 수치는 이제 거의 90%에 가까워졌는데, 덕분에 도서·산간 지역으로의 접근성은 훨씬 높아졌다. 몇년 전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출장을 간 적이 있었는데 포장되지 않은 길을 가다 보니 100㎞를 가는 데 세 시간이 넘게 걸린 적이 있었다. 포장된 도로는 여전히 선진국이 아닌 지구 대다수의 국가에서는 일상의 영역이 아닌 것이다.
20세기 초 참혹한 암흑의 도시였던 런던이나 파리, 베를린, 뉴욕과 같은 도시들은 고속도로, 철도와 같은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해 혼잡과 과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20세기 초 런던은 질병, 범죄, 궁핍이 만연한 도시였지만 일용직 노동자들은 일자리에서 멀리 떨어지지 못할 정도로 가난했기 때문에 더 좁은 면적에서 한데 모여 살 수밖에 없었다. 많은 자료를 통해 당시 런던에서는 한 가구가 한 방에서 거주했고, 그 가족의 수는 8명에 이르기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토부 자료에 따르면 2006년 1인당 주거면적은 26.2㎡였는데 2019년에는 32.9㎡로 더 늘어났다고 한다. 3인 이상 단칸방 거주 가구 비율도 같은 기간 0.7%에서 0.1%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당장 부동산 관련 뉴스를 보면 한숨만 나올 수 있다. 그래도 그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탄생한 것들이 외곽순환도로나 1기 신도시, 신분당선 같은 혁신적인 정책들이었다.
부디 현재의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그런 훌륭한 대안이 탄생해 궁극적인 우리 삶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지길 기대해 본다.
2020-07-3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