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전락’, 나는 참회자이고 판사이다/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2030 세대] ‘전락’, 나는 참회자이고 판사이다/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입력 2020-03-05 21:58
수정 2020-03-06 01: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팰로앨토는 실리콘밸리와 가까운 동네다. 이곳에서는 일상 대화가 살짝 다르다. 처음 만난 사람도 바로 본론으로 들어간다. 대화라기보다는 추궁이다. 당신의 전문 분야는 무엇인가. 대표적인 개념 세 가지를 대볼 수 있는가. 유익한 정보 고맙다.

나폴레옹도 이런 식의 대화를 즐겼다. 시간에 쫓기고 자기 개발에 에너지가 많은 사람의 전형이다. 지인들은 내게 고대 그리스 로마 문화의 정수만을 뽑은 책을 써보라 한다. 이런 인문서를 실리콘밸리가 필요로 한단다. 누가 그 많은 고서를 읽을 것인가. 핵심만 추려 달라.

지식에 대한 갈구도 일종의 탐욕이다. 짐칸에 짐이 쌓일수록 전차는 더 무서운 속도로 질주한다. 궤도가 바뀌려면 짐을 덜어야 한다, 아니 모두 버려야 한다. 유익한 책이 아닌, 정직한 책이 필요하다. 카프카는 말했다. 책은 재앙이 닥치듯 써야 한다고. 외진 숲에 추방되듯, 우리를 비통하게 해야 한다. 책은 우리 마음속의 얼어붙은 바다를 위한 도끼다.

정직한 책. 작가의 생각을 진솔히 받아적는 게 아니다. 모든 확신이 무너질 때까지 끌고 가는 자기 성찰이다. 정직한 사람은 못할 일이다. 정직한 책이 있다면 거짓말쟁이가 썼을 것이다. 깊은 불편함, 가려움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나온다. 갈대밭에 대고 왕의 귀는 당나귀귀라고 어느 사내가 고백했듯이.

‘전락’이라고 쓰기보단 ‘라 슈트’라고 쓰고 읽혀야 소설의 맛이 나는 카뮈의 80쪽 분량의 짧은 소설이 있다. 샤르트르는 ‘전락’의 주인공 클라망스의 목소리에 카뮈의 목소리를 숨겼다고 했다. 클라망스는 약자를 돕는다. 동료들에게도 관대하다. 잘생겼고 일도 열심이다. 그는 자선에 관심 없다. 진실이나 지식에 대한 욕심도 사실 없다. 그가 늘 원했던 것은 그를 향한 타인의 복종이다. 그가 즐겼던 것은 그의 우월함이었다. 사람들이 비참해할수록 그의 돕는 기쁨도 더해 갔다. 마음으로 도왔다. 관대하게 용서했다.

그리고 잊었다. 이 열등한 인간들을 그는 쉽게 잊은 것이다. 친절한 얼굴과 정의로운 행동이 그에게 복종을 가져다준다는 것을 그는 알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어느 날 자기 자신의 이중성을 깨닫고 현기증을 느낀다.

클라망스는 죄책감에 빠지며 ‘전락’하는가? 아니다. 솟구치며 그의 인생 정점에 오른다. 자칭 참회자이고 판사라 했다. 당신의 얼굴도 나와 다를 것 없다. 자기 자신을 고발하니 세상을 고발할 권리가 생겼다. 클라망스는 산꼭대기에서 사람들을 내려다볼 방법을 찾은 것이다. 그는 다시 행복하다.

인간의 박애를 노래하던 카뮈에게 이런 면이 있었구나! 이런 저속한 ‘보여리즘’의 문제가 아니다. 카뮈는 책 뒤에 숨어 있다. 클라망스는 살가죽을 거꾸로 뒤집는 마음으로 고해한다. 독자는 클라망스의, 참회자·판사의 의뢰인이다.

내가 어느 날 책방을 갖게 된다면 난 오로지 ‘정직한 책’과 ‘그러지 아니한 책’으로만 나누어 놓을 것이다.
2020-03-06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