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그래서 우리는 소설을 읽는다/한승혜 주부

[2030 세대] 그래서 우리는 소설을 읽는다/한승혜 주부

입력 2020-02-13 17:26
수정 2020-02-14 03: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승혜 주부
한승혜 주부
얼마 전 청년 멘토로 유명한 기업가가 강연 중에 요즘 사람들은 책을 읽지 않아 문제라고, 특히 여자들은 오직 재미로 읽는 책만 봐서 더 큰 일이라고 해 화제가 된 사건이 있었다. 말하자면 여성들이 자기계발서나 경제경영서 대신 소설이나 에세이 등 ‘문학’ 서적만 많이 읽는다고 비판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여성혐오적 편견에 근거한 잘못된 언설이다. 그의 주장과 다르게 여성들의 평균 독서량은 남성을 압도하는 수준이다. 통계에 따르면 특히 30대 여성은 동년배 남성에 비해 2배가량 많은 책을 읽는다고 한다. 독서량 자체가 많은 만큼 종류 역시 문학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분야로 뻗어 나간다. 그러나 이러한 점을 차치하더라도 해당 발언은 문학 자체에 대한 편견과 오류를 담고 있기 때문에 더욱 문제가 된다.

흔히 문학은 재미를 선사하거나 감수성을 길러 주는 것 외에 어떤 실질적인 ‘효용’도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야말로 철저하게 ‘자본주의적’ 접근인 셈. 그러나 사실을 말하자면 그들이 그렇게 중요시하는 자본주의적 관점에서도 문학은 결코 무용하지 않다. 문학의 이야기 구조는 비문학처럼 뚜렷하고 선명하지 않으며 문장의 행간 및 줄거리의 얼개와 구조, 인물의 캐릭터를 파악하는 데 상당한 공이 든다. 어쩌면 해당 멘토가 평소 강조하는 ‘문해력’을 기르는 데는 정체불명의 자기계발서보다 일반 소설책이 훨씬 큰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더 중요하게 문학은 우리에게 타인의 관점을 취할 수 있는 기회를 선사한다. 메리언 울프의 ‘다시 책으로’에는 소설을 읽을 때 독자의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관한 내용이 등장하는데, 책에 따르면 우리의 뇌는 소설을 읽는 동안 등장인물이 겪는 사건을 마치 자신이 현재 당면한 일, 실제로 경험하는 일처럼 받아들인다고 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문학을 통해 스스로는 상상조차 하지 못했던 상황에 처하는 경험을 하게 되고, 주인공이 겪는 갈등과 감정을 생생하게 체험하며, 그 과정에서 타인에 대한 이해심과 공감 능력을 기르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간과 사회에 대한 통찰을 기르는 데 문학은 매우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 물론 문학을 접한다고 모두가 통찰력을 기르는 것도 아니며, 통찰력 있는 모든 사람이 문학과 반드시 가까운 것만도 아니지만, 그럼에도 문학을 경원시하고 깔보는 사람의 공감 능력과 문해력이 점차 떨어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수순이라고 할 수 있다. 타인의 삶 뒤에 숨겨진 복잡한 사정과 맥락을 모두 지워 버린 채 단편적인 정보의 편린밖에 받아들이지 못하게 될 테니 말이다.

같은 선상에서 책과 독서를 자본주의적 관점으로만 대할 때, 그 결과물은 아이러니하게도 자본주의와 점점 더 멀어지는 결과를 낳게 된다고 할 수 있다. 공감 능력 없이는 깊은 수준의 문해력과 통찰력에 도달하기 어렵고, 통찰력이 없는 사람이 성공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기 때문이다.
2020-02-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