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신 건설 인프라엔지니어
콘크리트가 여타 재료에 비교해 훌륭한 점은 원하는 위치에서 원하는 모양으로 쉽고 싸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이다. 주조를 위해 용광로와 같은 설비가 필요한 것도 아니고, 원재료를 마련하기 위해 울창한 숲을 훼손할 필요도 없다. 그리고 사용이 완료된 콘크리트는 순환골재로 97% 이상 재활용돼 환경을 해치지도 않는다. 이러한 콘크리트라는 재료가 없었다면 우리는 도시에서 대중교통과 집단에너지사업을 활용해 1인당 온실가스 배출을 낮추며 효율적으로 공존할 수 없었을 것이다.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건폐율을 낮추고 용적률을 높이는 식으로 대지 면적의 절반 이상을 조경으로 감싸는 고층 아파트를 지을 수도 없었을 것이며, 상하수도 시설을 갖추며 위생적이고 안전한 도시를 구축할 수 없었을 것이다. 몇 년 전 영국의 한 의학전문지 설문조사에 따르면 현대 의학계의 성과 중 1위는 하수도와 깨끗한 물이었다고 한다. 21세기 들어 하수도 시설 덕분에 인류는 수인성 전염병에서 해방됐고 평균 수명이 약 35년가량 늘어날 수 있었다.
이러한 하수도 시설 역시 콘크리트가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인데, 하수처리장은 모두 콘크리트 구조물이며, 하수도관 역시 콘크리트 흄관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렇듯 콘크리트는 현대 문명을 지탱하는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존재인데, 간혹 환경 파괴적인 물질 혹은 도시의 답답한 풍경의 대명사처럼 여겨지기도 해서 안타깝다.
일부 사람들은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비판하기도 하는데, 만일 콘크리트를 철이나 나무로 대체한다면 훨씬 더 많은 환경 파괴가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건설 비용의 상승과 비효율 역시 무시하기 어렵다.
인류문명은 돌을 깨서 도구를 만들던 구석기시대에는 채집경제에 불과했지만, 점토로 토기를 만드는 신석기시대에 생산경제로 진입해 농경사회 정주 문명으로 변모할 수 있었다. 콘크리트는 과거 고대 이집트문명 때부터 사용했던 재료이지만, 여기에 인장력이 가미된 철근 콘크리트가 사용된 역사는 불과 150여년에 불과하다. 철근과 콘크리트의 열팽창 계수가 거의 같다는 것은 우리 인류에게 축복과 같은 일이었다.
콘크리트는 본래 압축에 강한데, 철근은 늘어나는 힘인 인장에 강하다. 철근은 공기 중에서는 부식되기 쉽지만 콘크리트 속 철근은 부식이 잘 되지 않는다. 이러한 철근과 콘크리트 콤비 덕에 우리는 오늘도 아파트에서 잠자고, 깨끗한 물로 샤워하고 목을 축이며, 높은 건물에서 일한다. 이 콘크리트야말로 현대사회의 ‘아낌없이 주는 나무’가 아니겠는가.
2020-02-0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