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준 작가
그렇다면 이런 사람들은 자신이 절도라는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는 자각이 있을까? 놀랍게도 자기 딴에 나름의 이유가 있다. 한 지인은 자신의 가게를 이용해 오던 손님이 화분을 들고 가는 것을 현장에서 잡은 적이 있다. ‘자신이 그간 많이 팔아 줬으니 이거라도 가져가야 손해가 아니다’라는 게 그 현행범의 대답이었다고 한다.
최근에 논란이 된 전직 육군 장군 일가의 갑질 또한 어쩌면 이 범주에 속할지도 모른다. 사람들이 공분한 것은 전혀 잘못이라 여기지 않는 태도 때문이었다. 기자회견에서 밝혔듯이 자기 딴엔 정당하고 타당한 이유가 있었고 그래서 정당하다는 것이 그 주장이었다. 아마 그분 입장에선 나라를 위해 열심히 일한 좋은 사람이란 건 몰라주고 자신의 사고 체계 내에선 아무런 문제가 없는 일로 모욕을 당하니 진심으로 억울했을 것이다.
어처구니없는 일들이지만 이건 이상한 사람들이 저지르는 일이 아니다. 행동경제학계의 스타로 떠오른 댄 애리얼리는 그의 책 ‘거짓말하는 착한 사람들’을 통해 “사람들은 자기 자신을 정직한 사람이라 말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부정행위를 저지른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르면 개인이 저지르는 부정행위의 수준은 자기 합리화의 수준으로 결정된다. 즉, 부정행위는 자기 합리화를 통해 ‘그래도 되는’, ‘그럴 수밖에 없는’ 일이 됐기에 그것을 한다 해도 나는 여전히 좋은 사람이다. 부정행위와 나쁜 짓을 저질러도 자각이 없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스스로를 진심으로 나쁜 사람이라 여기는 사람은 없다. 다들 자신을 좋은 사람이라 생각한다. 잘못된 점을 지적해서 좋은 사람임을 부정하거나 좋은 사람이 아닐 가능성만 언급해도 격한 감정을 드러낸다. 더 나아갈 경우 비판자를 악으로 규정하기도 한다. 자신의 ‘좋은 사람’이 부정당하지 않으려면 상대가 ‘나쁜 사람’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정상인데 남은 다 이상한 사람이며 잘못은 남이 저지르는 것이고 나는 언제나 피해자며 ‘좋은 사람’이다. 이 때문에 나쁜 짓은 나쁜 사람이 저지르는 게 아니라 좋은 사람이 저지르는 아이러니가 발생한다. 하지만 스스로 여기는 선함만큼 실제로도 좋은 사람일까?
오늘도 어딘가에선 갑질이 벌어질 것이고 어딘가에선 부정행위가 벌어질 것이다. 그리고 그 사람은 아마도 ‘이 정도는 괜찮다’, ‘이 정도는 당연하다’라고 여기는 평범하게 좋은 사람일 것이다. 그게 당신일 수도 있다. 혹은 나일 수도 있고.
2019-11-1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