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명묵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4학년
특히 경제가 그러했다. 한국전쟁 특수로 폐허에서 일어서기 시작한 일본 경제는 1960년대부터 세계를 놀라게 한 고도 성장을 이룩하며 서방 세계 최강의 경제로 발돋움했다. 미국으로부터 철을 공급받지 못해 중일전쟁에서 쩔쩔매던 미숙한 공업 국가였던 일본은 철강, 조선, 자동차, 화학 가릴 것 없이 모든 분야에서 압도적인 성장을 이룩했다. 이 같은 경제 번영의 결과로 급증한 도시민들 대부분이 에어컨, 세탁기, TV 같은 가전제품에 접근하면서 일본은 전기, 전자 영역의 강국으로도 도약했다.
하지만 전후의 번영은 멈춰 섰다. 미국의 역사학자 존 다우어는 일본의 전후가 1989년에 끝났다고 이야기했다. 일본이 미국에 안보를 전적으로 기댔던 냉전 체제가 무너졌고, 전후 경제 기적은 버블 붕괴와 함께 어두운 터널로 들어갔다. 시대 변화를 예시하듯 그해 1월 64년 동안 재위했던 히로히토 천황도 죽었다. 1989년 이후로 세계 속 일본의 위상은 결코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었다. 경제는 활력을 잃었고 정치는 혼란했다. 헤이세이 30년 동안 중국은 일본을 규모로 압도했고 한국은 일본을 질적으로 따라잡으며 ‘아시아 1등’이라는 일본의 자아 정체성마저 흔들렸다. 그래서 비전을 잃은 이 시대를 일각에서는 ‘포스트 전후 시대’라고 부른다. 과거는 끝났지만 새로운 미래가 다가오지 않았기에 이런 우스우면서도 씁쓸한 명칭이 붙은 것이리라.
하지만 전후에서 포스트 전후로의 전환은 아직 많은 사람에게 와닿지 않았던 것 같다. 군국주의 부활을 아직도 우려한다는 것이 대표적이다. 일본이 미국에 도전했던 1940년대나 1980년대는 일본의 국력이 팽창일로를 걸었던 시대였다. 포스트 전후는 그와 정반대의 시대, 수축의 시대다. 아시아의 세력균형이 전면적으로 뒤집힌 상황에서 수축 중인 사회가 다시 팽창을 선택할 능력과 의지가 남아나 있을지는 의문이다. 이런 인식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아마 식민지의 기억, 직접적으로는 전후 일본의 거대한 번영에 대한 기억이 여전히 많은 사람에게 생생하기 때문일 것이다.
포스트 전후 30년이 된 지금, 변화한 일본의 현실을 바라볼 새로운 시각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일본은 여전히 배울 것이 많은 나라다. 다만 방향이 달라졌을 뿐이다. 실체 없는 군국주의 위협에 벌벌 떠는 것보다는, 정치 리더십이 방향을 잃지 않기 위해서, 산업과 문화가 활력을 상실하지 않기 위해서 일본을 들여다보는 것이 훨씬 생산적이다. 바로 그것이 이제 과거가 되어 버린 ‘전후 일본’이 아닌 ‘포스트 전후의 일본’과 동거하는 현명한 방법이리라 믿는다.
2019-11-0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