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혜 주부
오래전 일이 새삼 떠오른 까닭은 아이 때문이다. 올해 7살인 아들은 친화력이 무척 좋다. 놀이터에서, 공원에서, 여행지에서, 또래를 보면 서슴없이 말을 붙이고 친해진다. 얼마 전에는 버스 옆자리의 아이하고까지 대화를 시작했다. 그런데 이렇게 아이가 새로운 친구를 사귀는 모습을 지켜보다가 신기한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한결같이 똑같은 질문으로 말문을 연다는 것이다. 상대 쪽에서 말을 걸어올 때도 그렇고, 우리 아이가 먼저 말을 시킬 때도 그렇다. 간혹 예외도 있으나 역시 중간에 한 번쯤 반드시 해당 질문이 등장한다. 바로 이것이다. “너 몇 살이야?”
한 번은 아이에게 물어봤다. “왜 나이를 물어보는 거야?” 아들은 당연한 걸 묻느냐는 듯 눈을 동그랗게 뜨고 대답했다. “그래야 형인지, 친구인지, 동생인지, 알지!” 아들은 이미 나이에 따라 호칭이 바뀌고, 호칭에 따라 관계가 달라진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이렇게 어린아이들까지 서열 문화의 영향 아래 놓여 있었나 싶어 조금 놀랐는데, 한편으로는 당연하다 싶은 생각도 들었다. 하다못해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도 나이를 밝혀 달라고 요구하는 세상인데 오죽하겠는가.
물론 친구가 되기 위해 나이를 알고자 하는 사람들의 마음도 모르는 것은 아니다. 한국처럼 연령과 기수에 따라 서열이 분명하게 갈리는 곳도 없으니까. 나이에 따라 언니, 형, 등등으로 호칭이 달라지고, 가까워진 뒤에도 한쪽은 존댓말 한쪽은 반말을 하면서 상호 동등하지 않은 경우도 많은데, 그런 사이가 친구처럼 느껴질리가. 결국 ‘진짜’ 친구를 찾으려면 나이를 알아야 했던 것이다. 한국인들이 동갑을 만났을 때 ‘친구’라며 서로 유난히 반가워하는 것 또한 어쩌면 이런 연유인지 모른다.
그날 아이에게 이런 이야기를 했다. 친구가 되기 위해 나이가 아주 중요한 것은 아니라고. 설사 나이가 같지 않더라도 서로 동등하기만 하다면 친구가 될 수 있다고. 그러니까 ‘반드시’ 상대의 나이를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고.
앞서 언급한 나이를 꼭 밝혀야 한다는 육아카페 이야기로 돌아가면, 나는 결국 닉네임 뒤에 출생연도를 붙였다. 수박68. 68년생 수박님이 된 것이다. 카페의 규칙에 저항하기 위한 허위정보였지만, 나처럼 나이에 신경 쓰지 않는 사람들과 ‘진짜’ 친구가 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2019-09-2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