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개 이야기/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2030 세대] 개 이야기/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입력 2019-08-01 17:44
수정 2019-08-02 04: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투키디데스는 인간의 본성은 영원히 바뀌지 않는다 했지만, 개의 본성에 대해서도 할 말이 있었을까. 키츠는 있었다. 영국 시인 키츠의 생각에 오늘날의 개는 그리스 시대의 개와 최소한 짖는 것은 똑같을 거라 확신했다. 개가 아니라 나이팅게일의 목소리이긴 했지만. 개도 그럴 거라고 우린 짐작할 수 있다. 키츠는 시인의 말은 물갈이 되듯이 재해석되고 변질되지만, 새의 지저귐은 영원히 변함없다고 했다.

키츠의 이론이 근거 있는지 확인하고 싶어 어느 옥스퍼드 교수는 조류학자를 찾아가기도 했다. 답은 ‘그럴 수도 있지만, 잘 모른다’였다. 모른다니까 더 흥미롭다.

고전학을 전공하면 사물을 길게 보게 된다. 거대한 문명들이 깨끗이 사라지는 것을 보면 우리의 유한함은 당연한지도 모른다. 프랑스 작가 폴 발레리가 말했듯이, 우리에게 니네베나 바빌론은 이제는 의미 없는 이국적인 이쁜 이름에 불과하다.

고대 그리스 문학에서는 개 얘기가 종종 나온다. 나는 2012년에 아테네 여행을 가서 그리스의 개들을 직접 보았다. 대부분은 집 없는 개들이었다. 기억해 보니 애완견이었단 생각은 없다. 무더위를 피해 그늘 밑에 늘어져 있었다. 갈비뼈가 인상적이었다. 한없이 게을러 보였다.

그리스 문학에서 개를 다룬 작품으로 크세노폰의 ‘개들과 함께 사냥하는 법’이 있다. 크세노폰이 추천하는 “부르기 좋고 간결한” 개 이름들은 요즘 사용해도 손색없다. 기쁨이, 도움이, 태풍이, 불꽃이, 똘똘이, 하늘이, 꽃망울이, 튼튼이, 활짝이, 번개, 돌 등등. 색깔에서 영감받은 하양이, 까망이 같은 이름들도 기록에 남아 있다.

그리스 문학 최초의 충견은 ‘오디세이아’에 나오는 아르고스 (즉 “번쩍이”)이다. 번쩍이의 주인 오디세우스는 10년의 트로이 전쟁을 마치고 10년 더 방황하다가 고향 이타카로 돌아오는데, 자신의 아내를 탐내는 108명의 구혼자들을 염탐하기 위해 거지로 분장한다. 죽은 줄 알았던 오디세우스라고 누구도 헤아리지 못하지만, 이제 노견이 된 아르고스만이 옛 주인을 바로 알아본다. 일어날 힘도 없어진 개는 귀를 내리고 꼬리를 흔든다. 자신임을 밝히지 못하는 오디세우스는 눈물을 훔치며 외면한다. 20년 만에 주인을 다시 본 충견 아르고스는 그 자리에서 숨을 거둔다.

‘오디세이아’ 후 인도, 아일랜드 서사시에도 충견 모티브는 자주 등장한다. 인도 서사시 ‘마하바라타’의 유디슈티라 왕도 개를 사랑했다. 그는 천국에 들어서려는 순간 개는 동반할 수 없다는 말에 차라리 지상으로 돌아가거나 지옥에 가겠다며 떼를 쓴다.

우리는 개를 얕잡아본다. 그리스에서도 “암캐”나 “개 얼굴한 놈”은 욕이다. 개에 대한 사랑과 멸시는 늘 함께했다. 윤회를 믿었던 피타고라스는 어느 날 마을 사람이 개를 패는 걸 막으며 개의 울부짖음에서 죽은 친구의 목소리를 들었다. 채찍을 맞는 말을 껴안고 울다가 미쳐버린 니체가 생각난다.
2019-08-02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