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대한민국 청소년의 사망 원인 1위는 자살이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다. 하지만 같이 어울린다고 꼭 가까워지지는 않는다. 대화한다지만, 혹시 오해가 생길지 조바심치는 게 대화다. 말을 잘못 뱉으면 말한 이는 곧 거만한 인간, 편협한 녀석 또는 모자란 놈으로 찍힌다. 한번 굳어진 구획은 무너뜨리기 어렵다. 사회는 구획으로 이루어져 있다.
소설 속 인물들을 보면 오해를 되풀이한다. 말은 주고받지만 서로의 내면은 꿰뚫지 못한다. 그래서 다투고, 멀어진다.
누구도 남의 본모습을 알지 못한다. 진정한 마음은 각각 유리되어 있다. 대학을 졸업하고 남이 다 알아주는 글로벌 기업에 취직한 내 친구 카메론도 외로워한다. 뉴욕에 살면서도 외롭다 한다.
외로움을 두려워하는 사람은, 세상의 태풍 같은 소음 속에서 자기 목소리를 잃으니, 자기 자신이 하찮아 보이고, 영원한 침묵을 선택한다. 러시아 영화감독 안드레이 타르콥스키는 외로움을 감싸 안으라 했다. 한 인터뷰 영상에서 그는 숲속의 목신 ‘판’처럼 나무에 드러누워서 얘기한다. 인간, 특히 젊은이의 문제는 고독을 견디지 못하는 것에 있다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자기 자신과 시간을 보낼 줄 아는 것이라고 한다. 어렸을 때처럼 혼자 있어도 지루해하지 않고 즐길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오스카 와일드는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야말로 한평생 이어질 사랑의 시작이라고 했다. 와일드답다.
외로움도 배우고 훈련해야 하는 것 같다.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시인 릴케는 조언한다. “당신이 다른 사람들과 나누는 교류의 시간보다 차라리 사물을 가까이 하세요. 사물의 세계는 당신을 버리지 않을 것입니다. 밤은 계속됩니다. 나무 사이로, 여러 땅을 거쳐 부는 바람도 당신 곁에 남을 것입니다.”
인간 아닌 사물이 당신을 버리지 않는다는 말에 몹시 공감한다. 보통의 우리는 흔히 마음의 4분의3 정도를 인간관계에 연연하는 데 써버린다고 한다. 거꾸로 그 4분의3을 문학이든 음악이든 자연이든 다른 ‘사물’에 쓰고, 나머지 4분의1을 친구, 가족, 연인 같은 ‘관계’에 써 보는 것은 어떨까.
좋은 도시에 산다는 것은 산책할 곳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는 혼자서든 여럿이든 산책하는 걸 좋아한다. 리포트나 에세이 등 뭔가 써야 한다면 대부분 혼자 걸을 때 써진다. 외로우면 걸어라.
나는 컴퓨터를 인터넷을 끄고 사용하는 것도 좋아한다. 인터넷이 켜진 컴퓨터는 시끄럽다. 마치 문을 열면 큰 무리의 사람들이 몰려와 내 몸을 번쩍 들고 어디 모르는 곳에 던져놓을 것 같다. 인터넷에서 고립된 컴퓨터는 비로소 나의 것이 된다. 타자기도 되고, 도서관도 된다. 바깥 세상의 목소리들은 멀어진다.
2019-06-2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