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명묵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4학년
하지만 중국의 1989년 6월은 전혀 달랐다. 그달은 톈안먼광장에서 인민해방군이 인민을 무참히 쏴죽인 그런 달이고, 중국 정부가 결코 인민에게 민주화의 기억을 소생시키지 않기 위해 기를 쓰고 은폐하려는 그런 달이다. 아마 이웃나라에서 비슷한 시기에 일어난 비슷한 사건으로 이렇게까지 극명하게 다른 의미를 부여하며 기념(?)하는 일은 찾기 어려울 것이다.
무엇이 이런 차이를 빚었을까? 운동가들의 절실함이 차이점은 아니었을 것이다. 중국 현대사가 한국 현대사보다 더욱 비극적이면 비극적이었지 딱히 그 질곡의 크기가 떨어지는 것은 아니었다. 톈안먼에 핏자국을 남긴 학생들도 1980년 광주의 시민만큼 절실했다.
‘87년의 6월’과 ‘89년의 6월’을 가른 차이는 결국 두 가지로 종합될 수 있다. 첫 번째는 민주주의에 우호적인 외부세력, 즉 미국의 개입 여부였다. 당시 미국은 신군부를 억제할 수 있었지만, 중국공산당을 억제할 수는 없었다. 두 번째는 교육받은 광범위한 도시 중산층의 유무였다. 한국에서는 군부독재 시절을 거치며 팽창한 도시 중산층이 ‘넥타이 부대’로 뛰쳐나와 정권에 최종적 타격을 입혔지만, 중국은 여전히 대다수가 민주주의보다는 경제성장을 염원하는 극빈층 농민이었다. 냉정하게 평가하자면 당대 중국은 민주주의 역량이 미약했고 권위주의 세력의 역량은 너무나 강력했다.
하지만 톈안먼 사건 이후 30년간 중국도 비슷한 변화를 겪으며 사정이 달라지고 있다. 폭발적 경제성장과 도시화, 대미 의존도의 증가 등이 최근 중국이 겪은 변화이다. 이는 본질적으로 박정희 시대부터 전두환 시대까지 한국에서 일어난 일과 대동소이하다. 온전히 일대일로 등치할 수는 없겠지만, 어쩌면 지금 100만명씩이나 운집한 홍콩의 시위가 그런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만일 그렇게 된다면 한국이 가진 자산 중 하나가 갑작스럽게 각광받을 수도 있다. 바로 시민저항의 전통이다. 중국에서는 이미 노동쟁의 때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고, 몇몇 네티즌들은 불법으로 영화 ‘1987’을 내려받아 보는 상황이다. 물론 억압적 중국 국가 질서 아래에서 이 같은 움직임이 어느 정도 크기로 분포하고 있는지 알기란 불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무역전쟁이라는 외부 충격과 내부 반발이 중국을 거세게 압박하는 지금, 1987년 6월의 기억이 생각지도 못한 방식으로 중국인들에게 영향을 끼칠지, 그것은 알 수 없는 일이다. 혹시 아는가, 그리하여 1989년 6월의 기억도 살아날지.
2019-06-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