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승혜 주부
시대변화에 맞추어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식도 개선하려는구나 애써 좋은 마음을 가져 보려 했지만, 이상하게 뒷맛이 씁쓸했다. 나중에야 왜 그토록 찜찜한 기분을 느꼈는지를 알 수 있었다. 많은 남성이 해당 광고를 환영하며 말했다. “남성천대시대에 성비균형을 맞춘 이런 광고가 나오다니” “여친한테 구속이랑 집착 당해 본 사람들은 기분 알죠”, “매번 여자만 피해자로 나와서 불편했는데 간만에 정상적인 광고가 나왔군요.”
이 광고에는 두 가지 주요한 문제점이 있다. 아마도 여론을 의식해 매우 신중하게 조합했을 동등한 성비는, 청취자로 하여금 성별과 무관하게 누구나 데이트 폭력 문제를 비슷하게 겪고 있다는 인식을 갖게 만든다. 물론 여성 가해자와 남성 피해자 역시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한국여성의전화에 따르면 신고가 접수된 거의 모든 사건(94.3%)의 피해자가 여성이었다고 한다. 가해자의 대부분은 그들의 배우자와 애인 및 데이트 상대인 남성이었다. 실질적인 피해자의 대다수가 여성인 상황에서 공익광고 속 성비를 철저하게 맞추는 것이 과연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피해를 예방하는 데 정말 도움이 되긴 하는 것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또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려는 본래의 목적과 다르게 오히려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인식 자체를 경미하게 만들어 버린다. 마치 남녀 사이의 가벼운 사랑싸움인 양. 물론 사랑하는 척, 걱정하는 척 상대를 통제하고 강요하는 행위 역시 폭력이 될 수 있다는 광고의 메시지는 엄밀하게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예시는 되려 지금 이 시간, 실제로 심각한 폭력을 당하고 있는 많은 이들의 상황을 순식간에 잊혀지게 하고 만다.
다른 남자와 만나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한 남자친구의 칼에 여성이 찔려 죽은 사건이 불과 몇 달 전이다. 인터넷에는 어떻게 하면 ‘무사히’ 애인과 헤어질 수 있을지 고민하는 여성들의 상담 글이 가득하다. 누군가 광고 속 성비가 알맞다고 흡족해하고 있을 상황에 어쩌면 다른 누군가는 생명의 위협을 느끼며 떨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기계적인 평등과 중립의 강조는 종종 문제의 본질을 흐린다. 이 광고를 들을 때마다 나는 여자친구를 때린 뒤 “네가 나한테 자꾸 강요하고 간섭하니까 그런 거잖아. 너 그런 것도 데이트 폭력이다”라고 말하는 사람의 모습을 자꾸만 상상하게 된다.
2019-05-0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