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농담과 권력/한승혜 주부

[2030 세대] 농담과 권력/한승혜 주부

입력 2019-02-21 17:32
수정 2019-02-21 23: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승혜 주부
한승혜 주부
“초콜릿 안 주시나요?” 얼마 전 한 남성이 페이스북을 통해 보내온 메시지다. 처음에는 실수인 줄 알았다. 비록 ‘페친’이기는 했지만 이름과 프로필 사진을 제외하고선 아무것도 모르는 사이였다. 그런데 느닷없이 초콜릿을 달라니. 그것도 아이들 사진을 주로 올리는, 누가 봐도 명백한 기혼 여성에게 말이다. 제가 왜 초콜릿을 드려야 하냐고 되묻자 그는 대답했다. “친구니까요.” 우리는 페이스북 친구이지 친구가 아니며, 이런 메시지는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고 답하자 그는 또 아무렇지 않게 말했다. “그저 오늘이 초콜릿날이라 농담 한번 해 봤어요.”

주변에서는 뭐 그런 경우가 다 있냐고, 세상에는 참 이상한 사람도 많다고 놀랐지만, 사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하는 여성에게는 그다지 드물지 않은 일이다. 친근함을 빙자한 불쾌한 접근과 아무 말 대잔치, 어김없이 따라붙는 농담이었다는 변명까지. 온갖 황당한 사례를 듣다보면 이게 과연 ‘일부’의 특수한 경우일까 하는 생각이 든다.

오래전 주기적으로 메시지를 보내오던 남성은 노동운동과 진보적 가치에 목소리를 높이던 이였다. 즉 겉으로는 멀쩡해 보였다는 말이다. 아이가 자꾸 엄마를 때려서 고민이라며, 댁의 아이는 어떠십니까로 시작된 메시지는 어느 틈에 정말 미인이시라는 둥, 선생님은 보기만 해도 즐겁다는 둥으로 넘어갔다. 이때는 불쾌함을 표현하는 것조차 쉽지 않았다. 내가 너무 과민한가, 나한테 왜 이러지. 결국 한참 고민 끝에야 의사표현을 했고,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불편하셨다니 죄송합니다만 농담이었어요.” 이쯤되면 일종의 패턴이다.

설령 정말로 ‘농담’이었다고 할지라도, 이 일방적이기 짝이 없는 대화는 일종의 권력 지형도를 보여준다. 군대의 고참이나 직장상사에게 아무렇지 않게 농을 던질 수 있는 이들은 거의 없다. 그들은 조심스럽고 어려운 상대이다. 우스갯소리 하나를 하더라도 상대의 기분과 취향을 면밀히 고려해야만 한다. 반면 SNS를 떠도는 이 수많은 ‘농담’들은 어떠한가. 왜 말하는 사람은 아무렇지 않은데 듣는 이는 불편함을 표현하는 것조차 어려워야 하는가.

‘눈치’는 약자의 언어라고 한다. 본인들도 인지하지 못했겠지만, 그토록 무신경하면서 무례하기 짝이 없는 용감한 시도를 할 수 있는 이유는 ‘그렇게 해도 되기’ 때문이다. 줄곧 그렇게 지내왔기 때문에. 그렇게 해도 아무런 영향이 없었기 때문에. 그러나 듣는 입장에서는 자신이 너무 예민한 것은 아닌가 하는 검열에 시달리며 제대로 된 대응을 하는 것조차 힘들다. 또한 불편함을 표현하는 순간마저 침착함과 상냥함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상대가 어떤 해코지를 할지 몰라 두려우니까.

나 역시 이번 메시지를 받고 불쾌함과 황당함 이전에 가장 먼저 느꼈던 감정은 공포였다. 상대방은 비록 ‘농담’이었다고 하지만. 불균형한 힘 앞에 “왜 더 강하게 거부하지 않았어?”거나 “당신이 그렇게 싫어하는 줄 몰랐어.”, “농담이었어”와 같은 말은 공허하다.
2019-02-2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