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명묵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3학년
15년이 지난 지금, 상황은 완전히 뒤바뀌었다. 모두의 손에 스마트폰이라는 조그만 컴퓨터가 들어가고 다양한 플랫폼이 확산되자 이제 콘텐츠가 넘쳐나고 반대로 시간이 모자라졌다. 잠들기 전에 누워 있는 시간과 대중교통을 통해 이동하는 시간까지 긁어 써도 홍수처럼 밀려드는 웹소설, 웹툰, 페이스북 글, 유튜브 동영상을 감당할 수 없다. 취향에 맞는 것들만 엄선해서 보는 데도 그렇다.
희소자원이 미디어에서 시간으로 바뀌면서 미디어 소비라는 활동은 공적인 것에서 사적인 것으로 바뀌었다. 시간은 많고 즐길 거리는 부족하던 과거를 떠올려보자. 좋아하는 음악을 듣고자 여럿이 라디오 하나에 붙어 주파수를 맞췄고, 남편과 아내는 서로 TV채널의 주도권을 놓고 다퉜다. 한정된 미디어 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세대, 지역, 성별을 막론하고 전 국민이 그럭저럭 즐길 수 있는 ‘국민 문화’가 필요했다. 한때 KBS의 ‘개그콘서트’ 유행어가 전 국민의 언어생활에 영향을 끼칠 수 있었던 것도 미디어의 희소성 덕분이었다.
스마트폰 시대가 된 지금은 누구도 TV 리모컨 통제권을 탐내지 않는다. TV에서 하는 ‘밋밋한’ 프로그램보다 훨씬 더 자신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들이 스마트폰 버튼 하나로 무한하게 열리기 때문이다. 각 개인은 자신만의 미디어 소비 경로와 취향들을 만들었다. 물론 미디어의 공적 성격이 아예 상실되지는 않았다. 미디어를 혼자 만들고 혼자 볼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플랫폼과 매체 소비자의 단위가 점점 잘게 쪼개지는 걸 피할 수는 없었다.
그 결과로 다른 세대나 성별이 즐기는 콘텐츠를 이해가 안 된다는 듯이 쳐다보는 풍경도 사라졌다. 지금은 자신이 속한 집단 밖의 다른 이들이 어떤 플랫폼을 통해 무슨 콘텐츠를 보는지조차 알 수 없게 된 시대기 때문이다. 10대들 사이에서 유행한다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 중장년층 사이에서 견고한 입지를 구축한 ‘네이버 밴드’, 인터넷의 수많은 남초와 여초 커뮤니티의 흐름을 모두 알기에는 무엇보다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공유하는 공통경험의 폭이 파편화되고 좁아지는 현상 자체가 잘못된 것은 아니다. 이는 기술적 변화로 자연스레 따라온 세계적 흐름이다. 다만 한 가지는 강조하고 싶다. 타인의 생각과 의견이 궁금한가? 그렇다면 우선 그가 즐기는 미디어와 플랫폼을 보라. 당신이 상상하지 못했던 세계가 나타날 것이다. 어쩌면 감당하지 못할 수도 있겠지만.
2019-01-2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