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형편없는 게이머의 공정한 경쟁/김영준 작가

[2030 세대] 형편없는 게이머의 공정한 경쟁/김영준 작가

입력 2018-12-27 17:28
수정 2018-12-28 01: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나는 최악의 게이머다. ‘스타1’(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이 열풍이었던 시절, 친구들과 게임을 할 때면 늘 시작 5분 만에 나는 애처로운 목소리로 친구들에게 한 번만 봐 달라고 빌어야 했다. 그럴 때마다 친구들은 ‘또 너냐?’라는 말과 함께 유닛을 빼서 다른 애들을 털러 이동했다.
이미지 확대
김영준 작가
김영준 작가
물론 그렇게 봐주면서 해도 나중에 본진을 털리긴 마찬가지였다. 내 컨트롤은 너무나 형편없어서 친구들은 언제나 나보다 많은 병력을 끌고 왔고 적절한 운용으로 내 본진을 농락했다. 여러 방식으로 핸디캡을 잡아도 결과는 늘 비슷했다. 그제서야 나는 내가 형편없는 게이머란 것을 인정하고 내가 잘할 수 있는 싱글 플레이 게임에만 집중했다.

만약 같은 숫자의 동일 유닛으로 정해진 장소에서 약속한 시간에 맞붙게 한다면 그나마 친구들과 대등한 대결이 가능했을 것이다. 그러나 대등한 것이 공정한 것은 아니다. 나의 친구들은 나보다 훨씬 우월한 손놀림으로 똑같은 시간 동안 더 많은 곳을 탐색하고 더 많은 자원을 채집하고 더 많은 유닛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다. 대등한 대결을 위해서는 친구들의 이 우위를 모조리 제거해야 한다. 나에게는 만족스러운 조건일지 모르나 친구들에게는 그렇지 않을 것이다.

이게 친구들과 함께하는 게임이니 내가 흥미를 잃지 않게 봐주는 핸디캡이 가능했다. 그러나 만약 생존과 수익이 직결되는 경쟁이라면 이런 핸디캡 적용이 가능할까? 멀리 갈 필요가 없다. 당장 냉엄한 랭킹전이었다면 나는 게임 시작 5분 만에 제거당하고 깊고 깊은 순위의 심연에서 다른 사람들의 순위를 부양해 주는 역할을 했을 것이다.

이 일을 생각할 때마다 비즈니스에서의 경쟁을 생각하게 된다. 가끔 우리는 시장 참가자들이 대등하게 겨룰 수 있게 만드는 것을 공정한 경쟁으로 착각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때로 우리는 대규모 자본이 경쟁에 진입하는 것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기도 한다. 그러나 자본은 경쟁에서 우위를 가져올 수 있는 한 요소일 뿐이다. 공정한 경쟁은 상대방이 맵핵과 에임핵처럼 게임을 해킹하는 것을 막는 것이지 본질적 우위를 제거하고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자본을 이용해 맵핵과 에임핵을 시도하는 것을 막아야지 자본 자체를 배제해선 안 된다는 이야기다.

재미를 위해 대등한 조건으로 조정하는 스포츠에서조차 우위를 완벽히 제거하려 들지는 않으며 선수의 차이와 자본의 차이를 인정한다. 그나마 자본의 차이를 어느 정도 제어하려 시도하는 경우는 좀더 재미있는 승부를 유도하기 위해서다.

비즈니스의 영역에서 우위를 제거하고 대등한 경쟁을 강제하는 것이 오히려 불공정한 경쟁이다. 비즈니스가 단순히 취미와 즐거움의 영역이라면 별 상관 없을 것이다. 그러나 다들 자본과 생존을 건 경쟁을 한다. 경쟁은 공정해야지 대등하게 만들려고 강제로 조정해서는 안 된다. 그러기엔 각자 경쟁에 걸어 둔 것들의 무게가 너무나도 크다.
2018-12-2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