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한 유기농 수제 쿠키 판매점의 실상이 논란으로 떠올랐다. ‘내 아이를 생각해 만든’ 유기농 수제 쿠키가 알고 봤더니 유기농도 아니요 수제도 아닌 공장제 대량생산품이었다는 것에 사람들은 충격을 받았다. 본질이 빠진 껍데기뿐인 타이틀이란 측면에서 볼테르가 껍데기만 남은 신성로마제국에 대해 남긴 ‘신성하지도 않고 로마도 아니며 제국도 아니다’란 표현을 떠올리게 할 정도다.
이 사건에 대해 많은 사람은 이 쿠키를 구매한 사람들을 비난하기에 바빴다. 맛의 차이도 구분할 줄 모르면서 허영심에 빠져서 껍데기뿐인 문구에 속아 넘어갔다고 말이다. 성급한 비난이다. 왜냐면 이러한 현상은 특정 계층의 문제가 아니라 인류 보편적 현상에 가깝기 때문이다.
사람의 손은 언제부터 그 가치를 높게 평가받았을까. 모든 것을 손으로 만들던 수공업의 시대에는 손이 큰 평가를 받지 못했다. 그러다 대량생산으로 인해 사람의 손이 필요치 않게 되는 시기부터 수제는 가치를 얻기 시작했다. 이러한 수제의 욕망을 정확히 파악한 사람이 19세기 미국의 경제학자였던 소스타인 베블런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을 과시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고 한다. 베블런은 대량생산의 시대에 수제의 가치가 뛴 이유가 바로 이 욕구 때문이라 말한다. 대량생산으로 상품은 더 균일하고 저렴하게 생산되었기에 ‘이런 흔해 빠진 상품’을 소비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기에 수제는 가장 적합했다.
기계에 비해 사람의 손은 비용이 높아 비쌀 수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수제의 이용은 은연중에 비싼 상품을 소비하는 품격 있는 소비자임을 증명하는 수단이 되었다. 수제에 대한 욕망은 허영심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이 허영심은 특정 계층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닌 인류 보편적 현상이다.
재미있는 점은 바로 이 허영심이 이후 수제의 질적 향상을 이끌었다는 점이다. 이 비싼 가격을 정당화하기 위해 수공업자들은 질적 향상을 추구했다. 그 결과가 현재 핸드메이드가 가지고 있는 고급 이미지다. 사람의 손은 그 비용이 비싸다는 것일 뿐, 그 자체로는 아무런 가치도 만들어 내지 못한다. 서구 사회에서 핸드메이드가 특별한 가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결국 그 손들이 특별한 가치를 만들고자 수준을 끌어올렸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 사람의 손은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을까. 전반적으로는 그 비용만큼의 가치는 만들어 내지 못하는 듯하다. 수제의 남발 또한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수제에 대한 욕망은 허영심이라 비난하기 좋은 주제다. 그러나 수제에 대한 신뢰 또한 그 허영에서 비롯되었음을 감안하면 허영 자체를 비난할 이유는 못 되는 것 같다. 인간은 욕망의 동물이다. 그런 속보이는 욕망이 문명과 경제적 발전을 이끌어 왔다. 이번 일로 껍데기뿐인 수제가 명성에 걸맞은 가치를 갖춰 그 혜택을 모든 소비자가 누리게 되길 바란다.
김영준 작가
사람의 손은 언제부터 그 가치를 높게 평가받았을까. 모든 것을 손으로 만들던 수공업의 시대에는 손이 큰 평가를 받지 못했다. 그러다 대량생산으로 인해 사람의 손이 필요치 않게 되는 시기부터 수제는 가치를 얻기 시작했다. 이러한 수제의 욕망을 정확히 파악한 사람이 19세기 미국의 경제학자였던 소스타인 베블런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을 과시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고 한다. 베블런은 대량생산의 시대에 수제의 가치가 뛴 이유가 바로 이 욕구 때문이라 말한다. 대량생산으로 상품은 더 균일하고 저렴하게 생산되었기에 ‘이런 흔해 빠진 상품’을 소비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기에 수제는 가장 적합했다.
기계에 비해 사람의 손은 비용이 높아 비쌀 수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수제의 이용은 은연중에 비싼 상품을 소비하는 품격 있는 소비자임을 증명하는 수단이 되었다. 수제에 대한 욕망은 허영심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이 허영심은 특정 계층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닌 인류 보편적 현상이다.
재미있는 점은 바로 이 허영심이 이후 수제의 질적 향상을 이끌었다는 점이다. 이 비싼 가격을 정당화하기 위해 수공업자들은 질적 향상을 추구했다. 그 결과가 현재 핸드메이드가 가지고 있는 고급 이미지다. 사람의 손은 그 비용이 비싸다는 것일 뿐, 그 자체로는 아무런 가치도 만들어 내지 못한다. 서구 사회에서 핸드메이드가 특별한 가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결국 그 손들이 특별한 가치를 만들고자 수준을 끌어올렸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 사람의 손은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을까. 전반적으로는 그 비용만큼의 가치는 만들어 내지 못하는 듯하다. 수제의 남발 또한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 수제에 대한 욕망은 허영심이라 비난하기 좋은 주제다. 그러나 수제에 대한 신뢰 또한 그 허영에서 비롯되었음을 감안하면 허영 자체를 비난할 이유는 못 되는 것 같다. 인간은 욕망의 동물이다. 그런 속보이는 욕망이 문명과 경제적 발전을 이끌어 왔다. 이번 일로 껍데기뿐인 수제가 명성에 걸맞은 가치를 갖춰 그 혜택을 모든 소비자가 누리게 되길 바란다.
2018-10-1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