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착한 가격‘ 대신 이익을 허락하자/김영준 작가

[2030 세대] ‘착한 가격‘ 대신 이익을 허락하자/김영준 작가

입력 2018-09-13 17:28
수정 2018-09-13 18: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고 있던 운동화가 낡아서 인터넷에서 신발을 검색했다. 최종 후보로 꼽아 둔 A와 B 운동화는 디자인과 컬러가 약간 다른 상품이다. A가 좀더 마음에 들지만, B가 3만원 더 저렴하니 고민이 된다. 아마 이런 경험은 누구나 해 본 적 있을 것이다. 개인의 선호만 보면 고민을 할 필요가 없지만, 서로 다른 가격이 붙는 순간 고민거리가 된다.
이미지 확대
김영준 작가
김영준 작가
운동화를 만들기 위한 생산원가는 별 차이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신발회사는 A를 좀더 갖고 싶은 상품으로 만들었고 그 대가로 3만원의 가격을 더 붙였다. 이 가격 차는 내가 A를 갖고 싶어 하는 욕망에 대한 가격표다. 원가는 같아도 잘 만든 덕분에 신발회사는 3만원을 더 벌고 이익을 더 내는 것이다.

오래전부터 우리는 원가에 집착하며 생산자들이 이익을 내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심지어는 이익이 많지 않음에도 이익을 많이 내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을 빌미로 폭리라 부르며 나쁘다고 비난해 왔다. 잔당 원두 비용이 400원인데 10배 가격인 4000원에 팔아먹는다고 비난하던 커피가 대표적 사례였다. 그리고 이 ‘원가 논란’은 현재는 전방위로 퍼져 가고 있다.

원가 중심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는 무언가 잘못되었다. 한번 진지하게 생각해 보자. 생산자가 이익을 많이 내는 것이 왜 잘못일까? 상품에 이익을 붙일수록 가격이 오르고 상품을 구매하기 힘들어지지만, 갖고 싶지 않다면 오르든 말든 아무 상관이 없다. 그 상품을 원하기 때문에 가격이 오르는 게 싫고 이익을 붙이는 게 싫은 것이다. 즉 원가를 거론하며 생산자의 이익을 줄이려는 시도는 그 상품을 갖고 싶은 나의 욕망에 대해 정당한 가격 지불을 거부하고 생산자의 이익을 빼앗고자 하는 시도다.

욕망의 가치를 무시하고 이익을 억제하는 건 부작용이 크다. 생산자의 입장에선 제값을 못 받으니 심혈을 기울여 사람들이 갖고 싶어 하는 상품을 만들 필요가 약해진다. 그 결과 멋진 운동화 A는 사라지고 B가 아닌 엉망진창인 C 같은 것들이 넘쳐나게 된다.

이익은 통제할수록 상품의 질적 하락으로 이어지며 반대로 이익을 허용할수록 질적 상승이 나타난다. 또한 이익은 임금, 고용과도 연관된다. 자기 목구멍이 포도청인데 직원을 더 고용하고 임금을 올려 줄 인격자는 없다. 이익의 여유가 임금과 고용의 여유로도 이어짐을 생각하면 이익의 억제는 양 측면에서 부정적인 효과가 크다.

우리 모두는 경제에서 소비자이자 생산의 일원임을 생각하자. 생산자에 대한 이익 억제는 생산의 일원인 자기 자신에게 고스란히 영향이 돌아온다. 사회적으로 ‘착한 가격’이란 이름으로 강요된 낮은 이익은 각자에게 팍팍한 수익과 소득으로 연결되는 악순환으로 이어지는 법이다. 자신의 욕망을 인정하고 제값을 치름으로 이 악순환을 끊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제 이익을 허락하자.
2018-09-1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