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석의 신호를 찾아서] 매트릭스와 레디플레이어 원

[이효석의 신호를 찾아서] 매트릭스와 레디플레이어 원

입력 2021-03-01 17:02
수정 2021-03-02 01: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효석 뉴스페퍼민트 대표
이효석 뉴스페퍼민트 대표
1999년 개봉한 SF 영화 ‘매트릭스’는 전 세계적 흥행만큼이나 많은 이들에게 충격을 주었다. 그중 가장 인상적인 것은 기계가 인류를 사육하고 있으며 인간은 뇌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가상의 세상에 살며 그것도 자신이 가상의 세상에 살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자각하지 못하고 있다는 설정일 것이다. 실제로 뇌는 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오는 전기신호로 외부 세상을 파악하기 때문에 이 설정에 무리가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뇌가 인간의 모든 생각과 판단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며 따라서 교체 불가능한 자아가 오직 뇌에만 존재하리라는 생각은 다양한 예술작품에서 응용된 바 있다. 한 미스터리 소설에서는 버려진 실험실에서 아직도 영양 공급을 받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그래서 어쩌면 수십년 동안 홀로 계속 생각에 빠져 있었을 뇌가 발견되는 이야기를 다루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또 뇌와 다른 인체 장기와의 소통이 신경을 통해 오직 전기 신호의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것도 잘 알려진 사실이다. 곧, 어떤 이의 뇌만 살아 있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면, 적어도 이론적으로는 그 뇌에 전기 신호의 형태로 현실과 구분할 수 없는 완벽한 가상 현실을 만들어 줄 수 있다는 뜻이다. 물론 이렇게 뇌에 직접 신호를 전달하는 기술은 아직은 의학적으로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적어도 영화 매트릭스가 가상현실(VR)과 실제 현실의 극명한 대조를 통해 역으로 가상현실을 더욱 친근한 개념으로 만들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반면 2018년 개봉한 ‘레디플레이어 원’은 2010년대 후반 일반화된 HMD 기반의 VR 기술이 가져올 미래를 훨씬 생생하게 그려냈다. 이 영화에서 사람들은 머리에는 HMD 장비를 쓰고, 몸에는 신체의 움직임을 가상현실에 전달하고 가상현실의 신호를 촉각으로 전달받는 슈트를 입는다. 영화 속 오아시스와 같은 완벽한 가상세계는 아직 존재하지 않지만, 적어도 이 영화에 등장하는 기술은 대부분 이미 현실화되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두 영화가 가상현실을 다루는 방식이 인공장기 기술과 매우 유사하다는 점이다. 인공장기 기술이란 사고나 노화 등의 이유로 사용할 수 없게 된 장기를 기계로 대체하는 것을 말한다. 눈, 귀와 같은 감각기관을 대체하는 인공장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실제 환경의 빛과 소리와 같은 외부 신호를 뇌가 해석할 수 있는 전기 신호로 바꾸어 뇌에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의수, 의족 같은 인공장기는 뇌에서 내리는 전기 신호 명령을 뇌가 의도한 실제 행동으로 바꿀 수 있어야 한다. 즉,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뇌와 인간의 장기, 외부환경으로 나눈다면 인공 장기는 뇌와 외부 환경 사이를 직접 중재하며 이 과정에서 실제 환경과 상호작용을 전기 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매트릭스에서 보여 준 것과 같은, 실제 현실과 가상현실을 구분할 수 없도록 뇌를 속일 수 있는 전기 신호화한 감각신호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이런 기술이 충분히 무르익는다면 매트릭스와 같은 방식으로 가상현실을 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레디플레이어 원에서 등장한 VR 기술은 우리의 감각기관을 그대로 활용하며, VR이 만든 시각, 청각 같은 가상 환경의 정보를 실제 환경 대신 우리의 감각기관에 제시하는 기술이다. 인공 장기 기술과 VR 기술은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개입한다는 공통점을 가지며, 단지 상호작용의 어느 단계를 가상의 신호로 바꾸느냐의 차이만을 가진다.
2021-03-02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