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선택지가 단 두 가지만 있을 때는 둘 중 하나를 비교적 쉽게 선택할 수 있다. 다수의 선택지를 토너먼트 방식으로 비교해 최종적으로 하나를 고를 수 있게 만들어 주는 ‘이상형 월드컵’은 이런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선택지를 둘씩 짝지어 연속해서 비교할 때 우리는 두 대상에 대한 자신의 순간적인 반응을 보다 쉽게 파악하며, 이를 바탕으로 가장 선호하는 대상을 찾을 수 있다.
이처럼 모든 문제를 둘 중 하나를 선택하는 문제로 치환하는 것을 ‘이분법’이라 한다. 인간이 가진 근본적인 이분법 중에는 외부의 자극이 자신에게 유리한 것인지 불리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습관이 있다. 이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가 자신의 생존을 위해 발달시킨 공통적인 습성이기 때문에 우리는 각종 외부 자극에 대해 본능적으로 유불리를 따져 반응하게 된다.
이분법적 본능에는 장점만큼 단점도 존재한다. 타인을 친구와 적으로 나누어 인식하려는 습성이 대표적이다. 과거 인류의 조상들이 생존하는 데 크게 영향을 미친 내(內)집단 충성이란 진화적 특성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종교나 신념을 기준으로 친구와 적을 가르는 방식이 매우 간단했다는 점 역시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그러나 현대 문명사회에서 여전히 생각의 차이를 두고 타인을 친구와 적으로 나누는 습관은 많은 경우 문제를 일으키기 쉽다.
이분법이 가진 또 다른 문제는 이분법의 기준을 어떤 의도를 가진 사람이 제시할 때 쉽게 발생한다. 경제학자 해럴드 호텔링이 제시한 ‘해변가의 아이스크림 트럭’ 이야기를 보자.
해변에 두 대의 아이스크림 트럭이 있고 관광객이 둘 중 더 가까운 아이스크림 트럭을 이용하는 상황을 가정해 보자. 이때 관광객에게 가장 유리한 두 트럭의 위치는 양쪽 절반의 가운데일 것이다. 그러나 트럭 한 대가 해변의 중앙으로 조금 움직인다면 그 트럭은 그만큼 상대 트럭으로 향하는 관광객을 빼앗게 되며, 결국 두 트럭은 최종적으로 모두 해변의 중앙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효석 뉴스페퍼민트 대표
이는 정치세력들이 이분법적 본능을 이용해 특정 문제의 찬반만으로 다수를 점하려는 시도에 비할 수 있다. 문제는 그 특정 문제를 누가 제시하느냐일 것이며, 안타까운 점은 이때 다시 친구와 적이라는 이분법적 본능이 자극된다는 것이다.
2020-03-3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