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태경의 지구 이야기] 코로나가 바꾼 대학 풍경

[홍태경의 지구 이야기] 코로나가 바꾼 대학 풍경

입력 2021-01-04 20:12
수정 2021-01-05 01: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코로나19로 점철된 2020년이 지나갔다. ‘언택트’라는 한국식 신조어가 만들어질 정도로 대면 활동도 크게 위축됐다. 일상적인 모든 일이 코로나19로 바뀌었다.

대학도 예외는 아니다. 학생들의 활기차고 생기 있는 웃음이 가득하던 교정엔 적막감이 드리운 지 오래다. 그 빈자리는 음식 배달 라이더들로 채워졌다. 학생들 간 교우, 선후배 관계도 멈추고, 신입생들은 서로 얼굴도 모른 채 온라인으로 수업을 들었다. 신입생이면 누리던 다양한 경험을 하지 못한 채 1년이 가버렸다. 2021년 신입생이 입학하면 1, 2학년생 모두 대학 생활이 낯선 새내기들인 셈이다.

코로나19 이후 대학의 가장 큰 고민은 양질의 교육 방식 찾기다. 대면 수업에서 벗어나 효과적인 비대면 교육 방식을 찾기 위한 고민이 계속됐다. 코로나19 이후 학생 설문 조사에 따르면 학생들은 전면 대면 수업보다 ‘대면+비대면 혼용’ 방식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상황에서 대면 수업에 대한 부담감과 함께 전면 비대면 수업의 경우는 수업의 질 하락을 우려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공학 분야 많은 과목들이 실험, 실습을 동반하고 있어서 온라인으로 이뤄지는 비대면 수업에 많은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광물의 현미경 관찰, 화학실험 등 직접 체득이 필요한 것들이다. 이에 따라 소규모 인원으로 실험조를 구성하고 실험 시간을 분산해 부족한 실험과 실습 교육을 하는 묘책이 동원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감염병 위기경보 단계가 상향되면서 불가능해졌다.
이미지 확대
비대면 교육의 어려움은 학생들에게만 있지 않다. 한 학기 동안 학생 지도를 하더라도 지도하는 학생의 얼굴을 모르는 일이 속출하고 있다. 또 수업 효과를 높이기 위해 질문을 자주 하거나 퀴즈를 푸는 방법이 동원되기도 하지만, 개별 학생의 수업 환경에 따라 곤란한 상황도 발생한다. 중간ㆍ기말고사 같은 필요한 평가도 어려운 일이다. 코로나19로 학문 교류 방식도 바뀌고 있다. 한 장소에 모여 대면으로 이뤄지던 학술대회 대신 온라인 학술발표와 토론으로 대체됐다. 중요한 의사결정 회의도 온라인 회의로 바뀐 지 오래다.

코로나19로 어두운 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대학에 새로운 도전의 기회를 주고, 다양한 가능성을 깨닫게 하는 계기도 되고 있다. 특히 대학 교육 방식의 다변화 가능성 확인은 주목할 만하다. 비대면 교육을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 간 지리적 거리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게 됐다. 지금까지 공통 기초 교육을 위해 많은 인력과 재원이 대학마다 필요했다. 기초 교육에 필요한 특정 학문 전공 교수를 찾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런 공통 전문교육자를 대학들이 공동 활용하고, 여기서 남는 재원을 신산업이나 혁신 분야 우수 연구자를 충원하거나 대학 경쟁력 향상을 위한 기반 시설 확충에 투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뿐 아니다. 온라인 수업 방식 활용으로 실습의 효율성이 높아진 사례도 있다. 컴퓨터 코딩이나 시뮬레이션 실습은 교수자가 개별 학습자의 실습 화면 공유로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다. 또한 대면 회의를 위해 불가피하게 필요했던 이동 시간을 줄여 의사결정을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됐다.

바야흐로 대학의 무한 경쟁 시대다. 코로나19는 대학에 많은 도전 과제를 주는 동시에 새로운 세상을 여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암울한 현재의 상황 극복을 넘어 코로나19를 미래 도약의 디딤돌로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한 요즘이다.
2021-01-0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