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태경의 지구 이야기] 사회적 거리두기의 효과

[홍태경의 지구 이야기] 사회적 거리두기의 효과

입력 2020-04-27 17:56
수정 2020-04-28 02: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미 누적 확진자 수가 200만명을 넘어섰고, 누적 확진자가 1만명이 넘는 국가도 30개국에 이른다.

아직 효과적인 백신이 개발되지 않아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가 유일한 예방책으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의 실행 정도를 정확히 파악할 방법은 없다. 대신 지진계에 기록되는 배경 잡음 수준 측정이 효과적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지진계에 기록되는 2㎐(헤르츠) 이상 잡음은 주로 인간의 활동에 의해 만들어진다. 사람들의 경제활동, 차량 이동, 산업시설 운영이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이 잡음 수준의 변화를 측정하면 사회적 거리두기의 실효성 평가가 가능하다.

외출 제한령이 시행된 미국과 유럽의 주요 국가에서는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40~80%가량 잡음 수준이 감소했다. 봉쇄령이 떨어진 중국 후베이성에서는 무려 90%에 이르는 잡음 수준 감소가 있었다. 우리나라 대구 지역도 지진파 잡음 수준이 40%가량 감소했다.
이미지 확대
흥미로운 것은 외출 제한령 이전부터 시민들의 활동이 크게 줄어든 점이다. 유럽 주요 국가에서는 일일 확진자 수가 처음으로 500명을 넘어선 시점에 시민들의 외부 활동이 눈에 띄게 감소하기 시작했다. 대구의 경우 50명을 넘어선 시점부터 시민들의 활동이 크게 준 것으로 관측된다. 이러한 현상은 확진자 수 증가로 시민들이 불안감을 느끼고 스스로 활동량을 줄인 결과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시민들의 외부 활동이 줄기 시작한 지 2주에서 한 달 만에 일일 확진자 수가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의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길게는 한 달가량이 소요됨을 의미한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일찍 시행할수록 확진자 수를 크게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역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느슨해지면 시차를 두고 확진자 수가 증가될 수 있음을 뜻하기도 한다. 한국은 다른 나라보다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이 빠르고 효과적이었던 덕분에 확진자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더불어 사회적 거리두기의 성패는 시민의 적극적 참여와 정부정책 시행의 효율성에 달려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 거리두기로 사회적, 경제적 활동이 크게 위축되면서 올해 전 세계 경기 전망은 어둡기만 하다. 물론 뜻밖의 효과도 보고되고 있다. 각국의 대기와 수질이 크게 개선된 것이다. 미국 캘리포니아의 대기질은 코로나19 창궐 이전에 비해 30%가량 개선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년 같은 기간에 비해 미세먼지 발생 빈도와 농도가 크게 낮아졌다. 미세먼지로 악명이 높던 인도와 중국의 대기질도 마찬가지다. 관광객으로 항상 붐비던 이탈리아 베네치아 수로에 인적이 끊기며 수질이 크게 향상됐다는 소식도 있다. 남아프리카에서는 코로나19 확산으로 범죄율이 감소하고, 예멘 내전도 일시적으로 소강상태라고 한다. 바이러스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행복한 부작용인 셈이다.

중국 후베이성에 내려졌던 봉쇄령이 3월 말로 해제됐고 중국 시민들의 경제활동은 빠르게 정상상태로 가고 있다고 한다. 이는 지진계 잡음 수준에서도 감지되고 있다. 베이징 지역에서는 이미 평시 수준을 회복한 상태다. 코로나19는 인류 단합의 시험대이자 지구 본래의 아름다운 모습을 새삼 깨닫게 해 주는 계기가 되고 있다.
2020-04-2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