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학술대회에는 전 세계에서 2만 8000여명의 지구과학자들이 참석해 유발지진, 기계학습, 빅데이터 분석, 인사이트 화성탐사 1주년 연구 결과 등을 주제로 열띤 토의가 진행됐다. 이 학술대회 참석 인원은 매년 꾸준히 늘고 있다. 참석 인원이 많다 보니 학술대회 기간 여러 진풍경들을 볼 수 있다. 일시에 많은 사람이 모여들다 보니 학술대회 수개월 전 시내 호텔 예약이 마감되고 샌프란시스코로 향하는 비행기 표를 구하기도 쉽지 않다. 호텔 숙박비가 평소의 배로 오르는 경우가 다반사이고 점심시간 식사도 쉽지 않다.
이런 불편함을 감수하고서도 많은 사람이 매년 한자리에 모이는 것은 학술대회를 통해 얻는 수확이 크기 때문이다. 최신 연구 결과와 이슈를 짧은 시간에 종합하고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자, 사회적으로 관심이 높은 문제를 집중 토의하고 국제 협력을 이끄는 선도적인 역할도 한다.
2005년 학술대회 주제가 좋은 예이다. 당시 학술대회에서는 2004년 12월 26일 인도양 수마트라섬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9.1의 대지진을 주요 주제로 다뤘다. 이 지진은 1900년 이후 발생한 전 세계 지진 가운데 역대 세 번째로 큰 지진으로 인도네시아 해안선을 따라 발달한 1200㎞에 이르는 충돌대 단층이 500초 동안 차례로 부서지며 발생한 것이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이듬해 개최된 학술대회에서는 지진해일 피해를 크게 일으킨 해저 단층 운동의 특징과 향후 지진 전망 등에 관한 다양한 최신 연구 결과들이 발표됐다. 또 지진해일이 도착하기까지 2~10시간이 소요됐음에도 지진해일 피해를 줄이지 못한 데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도 나왔다. 이를 계기로 그동안 미비했던 인도양 연안 국가에 대한 지진해일 경보시스템 보완을 유엔 차원에서 지원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도 했다.
이렇듯 학술대회는 학문적 교류뿐 아니라 국제사회의 지원과 협력을 이끌어 내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지진해일에 대한 관심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때 2만명의 인명피해와 후쿠시마 원전 폭발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다시금 높아졌고 지진해일을 줄이기 위한 국제적 공조와 협력의 계기가 마련됐다.
여기에 학술대회는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톡톡히 한몫을 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세계 각국은 큰 학술대회를 유치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도 내년에 ‘아시아오세아니아 지구과학학회’, 2024년에는 ‘세계지질학총회’를 개최한다. 학문발전, 국제교류, 지역 경제 발전의 세 축이 조화를 이루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2019-12-2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