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서미 작가
장면 2. 지하철을 타러 가고 있는데, 어떤 청년이 내 앞으로 와서 핸드폰의 번역기를 보여 주며 지갑을 잃어버린지라 카드를 충전할 수 있게 천원만 빌려 달라고 했다. 어디까지 가냐고 했더니 학교에 가는 길이라고 했다. 현금이 없다고 말하고 돌아섰는데, 타국의 지하철역에서 서성이며 돈을 꾸는 청년이 계속 안쓰러운 것이다. 다행히 내가 가지고 있는 카드로 편의점에서 카드를 충전할 수 있었다. 수줍게 웃으면서 고맙다고 인사하고 청년은 무사히 전철을 탔다. 이 이야기를 몇몇 사람들에게 했더니 반응이 다들 똑같다.
일면식도 없는 사람인데 어떻게 그리 도울 수 있었냐는 것이다. 여기에서 방점은 ‘도울 수’가 아니라 ‘일면식도 없는 사람’에 찍혔음을 왜 내가 모르겠나. 지구의 역사상 언제는 안 그랬을까. 하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요즘 세상이 더 뒤숭숭해서 그렇다. ‘그렇게 함부로 도와줬다가 잘못 엮이면 어떻게 하려고’라는 일갈이다.
위 두 장면의 공통점을 굳이 가려내어 엮어 보자면 마음의 곁을 내어 주지 않는 사람들이 교집합으로 쓸쓸하게 묶인다.
날씨도 썰렁해지는지라 추어탕집에 들렀다. 호기롭게 밥 한 그릇 탁 말아 든든하게 식사를 하고 있는데 갑자기 어떤 말이 내 귀에 정확하게 꽂혔다. “난 절대로 딴 사람들한테 먼저 마음 안 줘. 내가 먼저 안 다가가.” 쨍쨍한 어투와 목소리로 미루어 보아 은연중에 본인의 관계 권력을 전시하는 듯한 느낌이 들어 씁쓸했다. 인간 사이에 층이 없고 평등하게 지내야 한다는 사실이야 너무나 잘 알고 있지만, 현실을 살면서 우리도 모르게 이미 밀고 당기기를 시작하고 있지 않은가.
일터에서도 기선을 제압해야 뒷일이 편안하게 풀리니 기를 쓰고 심리적 기마전을 치른다. 연인들 사이에서는 대놓고 게임이 벌어진다. 사랑하는 사람과 벌이는 한판 승부. 알랭 드보통의 소설 ‘우리는 사랑일까’에서 설파했듯 심리적인 ‘딴청’을 부리는 사람이 사랑의 칼자루, 권력을 쥔다. 그러면 상대방은 레이더를 바짝 곤두세우며 딴청의 원인을 상상하고, 패턴을 분석하고, 앞날을 예측한다. 온통 마음을 주게 되는 것이다.
세상에는 척 보고 든 느낌을 좇아 ‘우리 친구하자’ 하면서 관계를 빠르게 빌드업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오랜 시간을 만나도 아직 ‘친구라는 선’을 넘기 힘들어하는 사람들, 그냥 나만의 선 안에 머물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있다. ‘가서 친해지면 되지’와 ‘친해야 가지’ 사이의 좁힐 수 없는, 이 영원한 간극.
그래도 마음의 아랫목 뜨끈하게 데워서 곁을 내어 주는 사람이 훨씬 많아지면 좋겠다. 나부터 상처를 얻을 때 얻더라도 가슴의 벽을 걷고 자리를 내주고 싶다. 자, 이리 들어오세요.
2023-11-06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