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아 도쿄 특파원
마쓰노 히로카즈 일본 관방장관이 지난 1일 ‘조세이탄광 수몰 사고’와 관련해 희생자들의 유골 발굴 요청에 대해 서면 답변한 내용이다. 일본 정부가 나설 생각이 전혀 없다는 것을 이처럼 돌려 말했다.
조세이탄광 수몰 사고는 일제강점기 강제동원과 관련된 또 다른 아픈 역사다. 하지만 대중에게 잘 알려진 참사는 아니다. 1942년 2월 3일 야마구치현 우베시 해안에서 약 1㎞ 떨어진 해저 지하 갱도가 무너지면서 조선인 136명과 일본인 47명 등 모두 183명이 수몰됐다. 당시 조세이탄광에서 일하던 노동자들이 갱도 안에서 바닷물이 흐르는 소리가 들렸다고 할 정도로 예견된 사고였다. 하지만 일제는 태평양전쟁 군수물자 확보를 위한 탄광 가동에만 급급했다. 수많은 목숨이 바닷속에 가라앉았지만 8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진상 규명은 이뤄지지 않았다. 심지어 자국민까지 사망한 사고임에도 일본 정부는 움직이지 않고 있다.
일본 정부가 나서 진상 규명을 해야 하는 또 다른 비극으로는 ‘우키시마호 사건’이 있다. 이 사건은 1945년 8월 22일 일본이 패망한 뒤 강제동원된 조선인 노동자들을 태운 배가 애초 목적지인 부산 대신 마이즈루항으로 향하면서 발생했다. 그리고 같은 달 24일 갑자기 폭발해 수많은 이들이 세상을 떠났다. 일본은 당시 공식 발표에서 승선자 3725명, 사망자 524명, 실종자 수천 명이라고 했다. 하지만 생존자 목격담에 따르면 8000명 이상이 배에 있었다고 한다. 왜 우키시마호가 부산으로 가지 않았는지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다.
이 사건들 모두 진상 규명이 요구되지만 일본 정부는 그 어떤 움직임도 보이지 않고 있다. 두 참사의 유족들은 고인의 유골이나마 수습해 고향에 안치한 뒤 넋을 위로하고 싶은 마음뿐이다. 하지만 그 유족들조차 나이를 먹고 하나둘씩 사라져 가고 있다.
일본에서 과거사와 관련된 취재 현장을 갈 때마다 깨닫는 점은 피해자도, 유족도, 이를 돕고 있는 일본 시민단체 관계자 모두 나이를 먹었다는 점이다. 지난 8일 일본 중의원 제1의원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열렸던 ‘조세이탄광 유골 발굴 조사를 요구하는 한국 유족의 기억을 듣는 모임’을 찾았을 때 관계자들은 한목소리로 “시간이 없다”고 호소했다. 실제로 발표 현장에서 젊은 사람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 오랫동안 애써 온 ‘조세이탄광 수몰 사고를 역사에 새기는 모임’의 이노우에 요코 공동대표는 “1991년부터 모임을 결성해 유골 발굴을 위해 노력해 왔는데 여기에 애써 왔던 분들도, 한국 유족들도 나이를 먹어 세상을 떠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일 관계가 좋아진 것과 별개로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하지만 시간은 피해자 편이 아닌 것처럼 속절없이 흐른다. 정부의 존재 이유를 묻고 싶다. 유족들이 원통하게 눈을 감지 않을 수 있도록 한국 정부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 일본 정부를 설득해야 한다.
2023-12-1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