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칼럼] 中, 바이러스와의 ‘진짜 전쟁’은 이제부터/류지영 베이징 특파원

[특파원 칼럼] 中, 바이러스와의 ‘진짜 전쟁’은 이제부터/류지영 베이징 특파원

류지영 기자
류지영 기자
입력 2022-12-27 20:18
수정 2022-12-27 23: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류지영 베이징 특파원
류지영 베이징 특파원
전 세계에서 가장 강도 높게 코로나19 방역 정책을 펼치던 중국이 이달부터 ‘위드코로나’ 전환을 선언했다. 지난달까지만 해도 감염병 확산을 원천 차단하겠다며 식당 실내 취식을 막고 전 주민 48시간 내 유전자증폭(PCR) 검사 의무화, 감염자 및 밀접 접촉자 집단격리시설 이송, 주거단지 수시 봉쇄 등을 당연시하던 것과 비교하면 그야말로 천지개벽 수준의 변화다. 주말에 오랜만에 가족과 동네 쇼핑몰을 찾아 외식을 했다. 어디를 가도 PCR 검사 결과를 보여 달라고 요구하지 않았다. 베이징에서 2년 넘게 생활하면서 아무 증명도 제시하지 않고 돌아다닌 것은 처음이었다.

중국 공산당이 “전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인 방역 정책”이라고 자랑하던 ‘둥타이칭링’(動態淸零·역동적 제로코로나)이 무너졌다. 지난달 24일 신장위구르자치구 우루무치 아파트 화재 당시 “지나친 방역이 사망자 수를 키웠다”는 논란으로 생겨난 전국적 ‘백지(白紙)시위’의 영향이 컸다. 중국인들은 3년 만에 자유를 얻고 기뻐했다. 그러나 그 대가는 혹독했다. 다른 나라들처럼 집단면역이 형성돼 있지 않았음에도 중국 정부가 성난 여론에 떠밀려 ‘일상 회복’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이제 PCR 검사에서 양성이 나와도 방역당국은 아무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그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집에서 알아서 치료하라. 다 나았다고 판단되면 PCR 검사를 받고 사회로 복귀하라’는 문자메시지만 보낼 뿐이다.

베이징 등 대도시에서 감염자가 셀 수 없이 쏟아지면서 이제 일반인이 병원에 가서 코로나 치료를 받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병원을 포기한 주민들이 차선책으로 해열제와 감기약, 비타민C를 집에 쟁여 두면서 약국 주변은 늘 인산인해다. 집에서 간편하게 감염 여부를 알 수 있는 진단키트 역시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다. 기자를 포함한 베이징 특파원들은 대부분 비슷한 시기에 바이러스에 감염돼 1~2주간 홍역을 치렀다. 기자는 이틀에 한 번씩 PCR 검사소에 가서 감염 여부를 확인한 것 말고는 바깥 출입을 거의 하지 않았지만 바이러스를 피하지 못했다. 아마도 PCR 검사를 받다가 감염된 것으로 생각한다. 한인 사회가 자발적으로 만든 위챗(중국판 카카오톡) ‘코로나 긴급대응방’의 도움을 받아 가까스로 병마를 이겨 냈다. 이틀 정도 고열로 역대급 고통을 겪은 뒤 안정을 찾았지만, 감염된 지 보름이 된 지금도 기침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태어나서 처음 겪는 증상이었다.

그간 중국에서 제로코로나는 종교나 이데올로기 같은 것이었다. 미국 등 서구세계에서는 이를 비웃었지만 최소한 중국 내부에서는 ‘팬데믹(대유행) 위기에서 14억 중국인을 지켜 낸’ 방패로 인식됐다. 그런데 오미크론 변이는 중국 공산당의 예상보다 훨씬 빠르고 똑똑했다. 막아도 막아도 인간을 비웃으며 어김없이 뚫고 나갔다. 고강도 방역에 지친 주민들도 스마트폰을 끄고 돌아다녀 당국의 추적을 따돌렸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3연임을 가능하게 해 준 제로코로나 신화가 근본부터 흔들리고 있다.

중국은 과연 ‘바이러스와의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을까. 10억명이 넘는 중국인이 이동하는 내년 춘제(음력설)를 어떻게 방어하느냐에 성패가 달려 있다. 중국인의 춘제 귀소 본능은 우리를 능가한다. 베이징에서 알고 지낸 농민공들은 다들 “3년 만에 고향으로 간다”며 잔뜩 신이 나 있다. 대도시의 바이러스가 시골 벽지까지 대거 옮겨 갈 것이 확실시된다. 중국 정부의 방역 역량이 여기서 판가름 날 것이다. 바이러스와의 ‘진짜 전쟁’은 지금부터다.

2022-12-2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