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주 워싱턴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발언이 아니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지난해 중순 트럼프의 섣부른 봉쇄 완화에 반대했던 조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달 ‘코로나19 대응 연설’에서 선언한 내용이다.
바이든의 코로나19 대응 전략은 한마디로 ‘과학 우선’이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햇빛에 저절로 사라진다든가 심지어 표백제를 마시면 나을 수 있다던 트럼프의 ‘비과학’을 정조준해 대선에서 승리했다. 그런데 요즘 바이든의 코로나19 대응을 보자면 트럼프의 데자뷔 같다.
바이든은 취임 후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속도를 내며 순항했다. 지난해 7월 4일 독립기념일 연설에서 “245년 전 미국은 영국에서의 독립을 선언했다. 이제 바이러스 독립 선언이 가까워졌다”며 자신감도 보였다. 하지만 코로나19는 델타 변이에 이어 오미크론 변이로 끈질긴 싸움을 걸어왔다. 이에 바이든의 리더십이 흔들렸고, 거센 역풍을 맞고 있다.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은 지난달 로스앤젤레스타임스에 “델타 변이가, 오미크론 변이가 올 줄 예상 못했다. 그것이 끔찍한 코로나 바이러스의 본질”이라고 했다. 여론은 바이든 역시 변이 바이러스의 유입을 감지하지 못했고 초기 방역에 실패했다는 의미로 해석했다.
지난해 트럼프에 대항해 봉쇄 정책을 폈던 민주당 소속 주지사들은 최근에는 바이든을 도와 “문을 열라”며 목소리를 높인다. 시카고 교사들이 오미크론 확산으로 온라인 수업 전환을 결의하자 로리 라이트풋 시장은 ‘무급 처분’으로 맞섰고, 에릭 애덤스 신임 뉴욕시장은 재택근무를 연장하는 월가에 “코로나19와 함께 사는 법”을 고민하라고 했다.
트럼프가 지난해 마스크 품절 대란으로 곤욕을 치렀다면 지금은 간이진단키트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가 됐다. 간이진단키트 5억개를 무료로 배포하겠다는 바이든의 발표가 아직 현실화되지 못하면서 온라인에선 판매가의 3배에 거래되기도 한다.
백악관은 “지금은 코로나19 초기와 상황이 다르다”고 주장한다. 그간 코로나19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축적됐고, 바이든이 취임하기 전 1%에 불과했던 1회 이상 백신접종률이 74%나 된다는 것이다. 집단면역을 부각하려는 의도겠지만 정작 백신을 개발한 미국에서 2회 접종 완료자는 62%로 197개국 중 61위다.
백악관이 방역 실패를 부인하고 공치사를 할수록 바이든의 리더십은 타격받고 있다. 바이든 역시 ‘과학에 입각한 방역’보다 트럼프처럼 ‘정치적 이해가 반영된 방역’를 한다고 보는 것 같다. 리얼클리어폴리틱스에 따르면 지난 9일 바이든의 국정 운영에 대한 부정 응답 비율은 54.8%로 취임 후 최고치였다.
과학으로 시작한 바이든의 코로나 방역 정책은 어느새 트럼프 때처럼 정치적 이슈로 전락했다. 바이든은 극우 진영의 백신무용론 등에 대해 “거짓 정보를 퍼트리지 말라”고 목소리를 높이지만 이들에겐 ‘자유를 뺏는 구속’, ‘소상공인을 죽이는 폭정’ 등의 정치적 수사로 들릴 뿐이다.
바이든 행정부가 과학을 외쳤음에도 결국 그 뿌리는 ‘트럼프 지우기’라는 정치적 의도에서 자유롭지 못해서일 것이다. 끝나지 않은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취임하게 될 한국의 새 대통령은 고전하는 바이든을 반면교사 삼아야 할 것이다. 전 정부 지우기는 지지자의 속을 후련하게 할 수는 있겠지만, 과학조차 ‘내 편, 네 편’으로 가르며 결국 부메랑이 돼 지도자의 리더십을 해칠 수 있다.
2022-01-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