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칼럼] 중국의 검정, 한국의 국정/이창구 베이징 특파원

[특파원 칼럼] 중국의 검정, 한국의 국정/이창구 베이징 특파원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5-10-23 17:56
수정 2015-10-23 19: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창구 베이징 특파원
이창구 베이징 특파원

중국 근·현대사 교과서는 국정일까 검정일까. 공산당이 지배하는 사회주의 국가여서 당연히 국가가 역사책을 도맡아 기술하는 국정 체제일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역사 교과서뿐만 아니라 모든 교과서가 검인정 체제이며 검인정의 주체도 중앙정부가 아니라 성과 직할시 정부다. 검인정을 통과한 교과서를 선택할 권리는 학교에 있다. 산둥성 고교생들은 문·이과 구분 없이 3년 동안 한 권의 역사 교과서를 배우지만, 바로 아래에 있는 장쑤성의 문과 학생들은 1년에 두 권의 역사 교과서를 떼야 한다.

교과서 검인정을 규정한 법도 나름대로 합리적이다. ‘중화인민공화국 의무교육법’ 제38조를 보면 “교과서는 국가 교육 방침과 수업 표준에 맞게 저술되어야 하고 유관 국가기관의 관료와 심사 당사자는 교과서 저술 및 편집 업무에 관여해서는 안 된다”라고 명시돼 있다. 교육부와 검인정 관련자의 교과서 저술 개입을 법으로 차단한 것이다.

그렇다고 중국 근·현대사 교과서의 내용이 훌륭한 것은 아니다. 중국 현대사의 가장 큰 ‘비극’이자 ‘과제’인 1989년 톈안먼(天安門) 시위 및 유혈 진압에 대한 내용은 중·고교 교과서는 물론 대학 서적에서도 찾아보기 어렵다. 티베트와 신장(新疆)의 독립운동은 테러로 규정될 뿐이다. 법에 규정된 교과서 집필의 자유는 껍데기일 뿐 집필자들은 공산당 통치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역사만 쓰고 있다.

지난 6월 톈안먼 사태 26주년을 취재하면서 베이징대 학생들에게 고등학교 때 이 사건을 배웠냐고 물은 적이 있다. 허베이성에서 고등학교를 다닌 학생은 “교과서에서 전혀 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안후이성 출신 학생은 “책에 ‘소요 사태가 있었다’고 딱 한 줄 쓰여 있었지만, 역사 선생님께서 조심스럽게 비교적 많이 말씀해 주셨다”고 했다. 사태 당시 희생자를 가장 많이 낸 베이징대에서도 어느 교수는 “당시 많은 선배들이 죽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고 하는가 하면 어느 교수는 “서방의 사주를 받은 불순세력의 국가 전복 기도”라고 매도한다고 한다. 박사 과정에 있는 한 대학원생은 “자신이 궁금해서 자료를 찾아보지 않는 한 알 길이 없다”고 말했다.

경제 규모가 세계 2위인 중국은 자신을 ‘대국’(大國)이라고 칭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가는 중국을 ‘거대한 시장’으로만 여길 뿐 중국이 보여 주는 가치와 의식을 배우려는 경우는 드물다. 중국이 진정한 대국으로 대접받지 못하는 가장 큰 원인은 숨 막히는 획일화일 것이다. 모든 결정과 해석은 공산당 지도부가 내릴 테니 국민은 ‘닥치고’ 돈만 벌라는 획일화 말이다. 돈을 향해 달려가는 획일화는 정치·사회·이웃에 대한 국민의 무관심을 낳았고 이는 소수 공산당 지배층이 권력을 유지하는 핵심 토양이 됐다.

비록 중국이 경제적으로 한국의 숨통을 쥐고 있다고 하나 우리를 도저히 따라올 수 없는 게 바로 사고의 다양성이다. 다양하게 생각하고 자유롭게 말할 수 있다는 게 얼마나 소중한지는 중국에서 살아 보면 금방 알 수 있다. 만일 지금 중국 정부가 역사 교과서를 검정에서 국정으로 바꾼다고 해도 저항할 중국인은 거의 없을 것이다. 국정으로 전환한들 변할 것도 잃어버릴 것도 없기 때문이다. 반대로 한국에서 그토록 많은 사람이 국정 회귀에 저항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정권 입맛대로 역사를 쓸 것이라는 우려를 넘어 우리가 애써 쌓아 온 다양한 가치들이 와르르 무너질 것이라는 위기감 때문일 것이다.

window2@seoul.co.kr

2015-10-2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