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성기 평화연구소장
이들 3고(苦)만 따져도 조명균 전 장관 때보다 상황이 나쁘다. 트럼프나 김정은 두 정상이 3차 정상회담 개최에 뜻은 같다고 하지만 하노이에서 패를 다 까놓고 상대가 먼저 손 들기를 기다리는 북미다. 북미 정상이 올해 안으로 비핵화의 길을 찾으면 모를까, 그전까지 북한이 남북 관계에 신경 쓸 여유가 과연 있을지 의문이다. 게다가 북한은 협상 시한을 올 연말로 못 박고는 미국의 일괄타결 ‘계산법’을 접지 않으면 정상회담조차 없다고 공언하고 있다.
북한의 얼어붙은 마음을 녹일 수 있는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 카드마저 김 장관에게는 없다. 연말까지 북한 핵·미사일이 동결된다 한들 비핵화 협상이 진전되지 않으면 초보적인 남북 경협조차 미국이 노(No) 할 것은 뻔하다. 트럼프가 더이상의 제재는 필요 없다고 했으니 제재의 허들이 높아질 일은 없겠으나 그렇다고 제재의 문을 열어줄 뜻은 존 볼턴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게 추호도 없어 보인다. 김 장관은 이런 북미 앞에서 동토(凍土)에 맨발로 선 기분일 것이다.
남북 관계를 다루는 사람에게 역대 최고의 통일부 장관을 꼽으라면 주저 없이 이론과 실제를 두루 갖춘 임동원 전 장관을 지목한다. 비슷한 기대를 김 장관에게 가져본다.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는 통일부 장관 시절 정책보좌관으로 기용한 김연철에 대해 필자에게 이렇게 말했다. “조용하면서도 전략적 사고가 뛰어나다. 상대 입장에서 뭘 생각하는지, 항상 역지사지하는 사람으로 상대를 설득하는 전략을 만드는 데 아주 뛰어났다.” 전략가 김연철이 도드라진 것은 개성공단에 반대하던 미국을 설득할 때였다.
2004년 8월 정 장관은 남북 경협에 반대하는 미 행정부 중에서도 핵심인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을 만난다. 정 장관은 ‘개성공단의 군사안보 전략적 가치’를 던졌다. 개성공단이 한미 동맹 취약점, 서울 방어의 조기 경보능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설명했다. 전략물자의 적국 반입을 규제하는 미국의 EAR로 핑계 대던 럼즈펠드의 생각을 바꿔 두 달 뒤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사무소는 간판을 달 수 있었다. 정 장관에게 논리를 제공한 게 김연철 보좌관이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문재인 대통령이 김 장관을 기용한 이유는 명확하다. 4·27과 9·19 정상회담에서 정리된 남북관계와 민간 교류를 안정되고 정례적인 것으로 만들 수 있는 능력자로 봤기 때문이다. 김 장관은 문 대통령이 3·1절 기념사에서 밝힌 한반도 새로운 100년의 국가비전인 ‘신한반도 체제’의 기틀을 만들라는 미션도 받았을 것이다. 김 장관이 취임사에서 언급한 “우리의 주도적 노력으로 남북한이 함께 만들어가는 공존과 상생의 평화협력 질서”가 그것이다. 김 장관 어깨가 무겁다.
북미 관계에 휘둘리지 않는 남북 관계의 창의적 해법을 김 장관은 내고 실천하길 바란다. 2004년 8월처럼 상대가 받지 않을 수 없는 묘안이 전략가 김 장관에게서 나와야 한다. 김대중 대통령 시절 임동원 전 장관은 뻔질나게 평양을 드나들었다. 김대중·임동원 같은 문재인·김연철의 ‘케미’가 만들어져야 한다. 김 장관이 2차례 대통령 선거에서 문 대통령을 돕고, 누구보다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잘 이해한다고 하더라도 그뿐이면 안 된다. 문 대통령은 장관 김연철에게 힘을 실어줘야 하고, 자주 만나 그런 케미를 쌓아야 한다.
지난 2년 존재감이 없었던 통일부다. 조 전 장관 잘못은 아니지만 김 장관 말처럼 ‘능동적’ 자세가 필요한 시기다. 군사분계선을 넘어 서울과 평양을 오갈 토대를 쌓고, 민족경제공동체의 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조 전 장관이 이루지 못했던 ‘남북 정상이 한라산에 오르는 날’도 이뤄야 한다. 3고 중 북미 장벽만 높은 게 아니다. 야당, 보수 세력과도 부단한 소통으로 ‘평화가 경제’ 초심을 관철해 내길 바란다.
marry04@seoul.co.kr
2019-04-1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