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장에 대통령 국정운영 성패 갈려
‘노’할 수 있고 불편한 진실 말해야
널리 인재 구하고 바닥 민심 전해
여권 낮은 지지율 반전 계기 되길
최광숙 대기자
비서실장은 대통령 제1참모로 국정운영 전반을 보좌해 권한과 책임이 막중하다. 성공한 대통령이 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가 ‘인사’이고, 그 으뜸이 비서실장이다. 비서실장에 따라 대통령 국정운영의 성패가 갈린다고 할 정도다.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참패 이후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 방식이 바뀌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4월 총선을 앞두고 대통령 국정 지지율이 30%대에 머물고, 그동안 전임 비서실장 교체 요구가 높았던 만큼 이 실장에게 거는 기대가 크다. 초라한 성적표를 받아든 윤 정권이기에 새 비서실장을 맞아 반전의 계기가 됐으면 한다. 그는 강력한 ‘카리스마형’이라기보다 온화한 ‘소통형’ 리더다. 새 비서실장에게 국민이 바라는 덕목은 무엇일까.
첫째, 대통령에게 ‘노’(No)할 수 있어야 한다. 로널드 레이건과 조지 H W 부시 미국 전 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낸 제임스 베이커는 “비서실장은 ‘노맨’이어야 한다. 워싱턴에서 가장 힘든 직업”이라고 했다. 그는 어수선하던 레이건 초기 백악관의 기강을 잡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이 실장은 부드러운 품성이지만 필요할 때 할 말은 한다고 한다. 대통령실 출신 한 인사는 “윤 대통령이 시키는 일만 했으면 신임을 받았겠냐”며 “(그는) 바른 얘기를 요령 있게 잘한다”고 했다. 그래도 지금보다 더 많이 ‘노’해야 한다.
둘째, 진실을 말하라. ‘노’하는 것만큼 사실에 근거해 솔직하게 말하는 것 역시 힘든 일이다. 빌 클린턴 정부 로버트 루빈 전 재무장관은 저서 ‘최고의 결정’에서 “일부 고위 공직자들은 자신의 의견을 말하기보다 대통령이 듣고 싶어 하는 말을 했다. 대통령이 듣고 싶은 말을 하는 것은 대통령의 신임을 잃는 길”이라고 했다. ‘불편한 진실’을 외면하는 것은 대통령의 올바른 결정을 방해하는 일이다.
셋째, ‘구현’(求賢)과 ‘선청’(善聽)을 하라. 현명한 인재를 널리 구하고, 여러 이야기에 귀 기울이라는 뜻이다. YS 정부 고 박세일 청와대 사회복지수석이 강조한 지도자의 자질이다. 30대에 박 전 수석의 보좌관을 지낸 이 실장에게는 남다르게 들릴 것이다. ‘인사가 만사’인데 윤 정부 인사를 놓고 뒷말이 많으니 특히 되새겨야 할 대목이다. DJ 정부 박지원 비서실장은 밑바닥 민심을 전하기 위해 대통령 욕하는 얘기까지 가감없이 전달했다.
넷째, 국회와 소통하라. 공화당 출신 레이건은 여소야대 정국 속 민주당 오닐 하원의장의 고희연을 백악관에서 열어 줄 정도로 야당에 공을 들였다. 그 덕에 레이건은 원하는 민생법안을 국회에서 무난히 처리할 수 있었다. 정치 경험이 부족한 대통령 대신 이 실장이라도 여야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야 한다.
대통령직은 야당과 싸워 이기는 게 아니라 국정 성과를 내고 약자를 챙겨 국민 삶을 이롭게 해야 하는 자리다. 큰 성과 없이 집권 중반기를 맞는 대통령실의 고민이 클 것이다. 총선 결과에 따라 정책 추진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럴수록 대통령이 최고의 결정을 내리도록 하는 게 이 실장의 가장 큰 책무다.
레이건의 베이커 비서실장은 때론 부드럽게, 때론 강하게 백악관 비서실을 장악해 레이건을 성공한 대통령으로 만들었다. 이 실장도 베이커 같은 ‘벨벳 해머’(벨벳처럼 부드럽지만 망치처럼 강인한) 비서실장이 됐으면 한다.
2024-01-0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