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차례와 제사의 차이

[정종수의 풍속 엿보기] 차례와 제사의 차이

입력 2021-02-07 17:30
수정 2021-02-08 03: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정종수 전 국립고궁박물관장
정종수 전 국립고궁박물관장
며칠 있으면 민족 최대 명절 설이다. 예전 같으면 벌써 차례니 귀성이니 하며 설 분위기로 온 사회가 떠들썩할 텐데, 코로나 19가 모든 것을 삼켜 버려 아쉽기 그지없다. 만일 명절이 없었다면 어땠을까. 한마디로 생활 자체가 무미하고 건조해 재미가 없을 것이다. 그나마 일 년에 한두 번 고향 부모님도 찾아뵙고 온 가족이 모여 덕담을 나누는 것도 다 명절 덕택이다. 우리 조상은 일찍이 풍토에 맞춰 명절을 두어 일손을 놓고 근신하며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며 쉬고 놀았다. 명절은 단조로운 생활에 리듬과 질서를 주고 소위 악센트와 같은 윤활유 역할을 해 왔다.

설날은 명절 중에서도 한 해의 첫 출발을 시작하는 날이다. 한 해를 가르는 달력의 기점이 되는 날로 원일·원단·세수라고 했다. 설 명절의 가장 큰 행사는 뭐니 해도 조상에게 지내는 차례다. 제사는 대상에 따라 그 이름을 달리했다. 하늘에 지내는 제사는 ‘사’(祀), 땅에 지내는 제사는 ‘제’(祭), 그리고 기제나 묘제처럼 조상에게 지내는 제사는 ‘향’(享)이라 했다. 이 모두를 통칭해 제사(祭祀)라 한다.

차례는 명절이나 절기에 지내는 속절제로, 예법에 있는 제사는 아니다. 사당이 있는 집에서 설·한식·단오·칠석·추석·동지 등에 계절 음식을 올리고 참배했다. 차례란 명칭도 매달 보름에 사당을 참배할 때 ‘차를 올리는 예’라는 뜻에서 유래했다고 본다. 홍석모(1781~1857)도 ‘동국세시기’에서 서울에서는 정월 초하루에 사당에 배알하고 제사지내는 것을 차례라고 했다. 한마디로 차례는 명절날 산 사람만 먹고 즐기기 미안해 시절에 난 음식을 사당에 주과포를 차려 술 한 잔 올리는 간단한 약식 제사였다.

그렇다면 차례와 제사는 어떻게 다를까. 흔히 돌아가신 날 지내는 제사와 명절 차례는 제물과 지내는 방식이 비슷하다 보니 같은 것이라 생각하기 쉽다. 차례는 제사의 한 종류이지만 엄연한 차이가 있다. 차례는 약식 제사이다 보니 일반 제사와 차리는 음식과 지내는 절차나 방식이 다르다. 차례는 명절날 아침에 모든 4대 조상을 모시지만, 기제사는 특정한 날짜가 정해지지 않고 돌아가신 날 밤에 지낸다. 제수도 일반 제사에는 메(밥)와 갱(국)을 쓰지만, 차례에는 메와 갱 대신 계절 특식을 쓴다. 설 차례를 ‘떡국차례’라 하고 추석에 메 대신 송편을 올리는 것과 같다.

우리의 제사 절차가 복잡하고 절차가 까다롭다고 여기지만 실상 골격만 알면 매우 쉽다. 차례나 기제사나 제의 방식이 집안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제의 구조는 크게 신을 부르는 청신(請神), 술과 음식으로 조상을 즐겁게 하는 오신(娛神), 다 드시면 보내 드리는 송신(送神)으로 돼 있었다. 차례나 제사는 조상을 청하는 분향 강신과 음식을 다 드신 후 보내 드리는 송신의 구조는 같다.

둘의 차이점이라면 차례는 기제사와 달리 분향 강신 후 축문도 없고 술잔도 한 번 올리는 무축단잔의 약식 제사다. 그래서 이를 천(薦) 또는 천신(薦新ㆍ그해에 난 농산물이나 과일을 신위에 올림)이라 했다. 기제사처럼 술잔을 세 번 올리는 것을 제사라 하여 차례와 구분하기도 했다. 그래서 옛날에는 선비가 밭이 없으면 제물 준비가 어렵기 때문에 ‘천’으로 제사를 대신한다고 했다.

반면 기제사는 단헌무축의 차례와 달리 축문을 읽는 삼헌독축으로, 향을 사르고 술을 부어 조상님을 초청하고 첫잔(초헌)을 올린 후 축을 읽는다. 이어 두 번째(아헌), 세 번째(종헌) 잔을 다 드시면 비로소 음식을 든다. 식사를 마치면 보내 드리고 상을 치워 제사를 마친다.

차례가 약식이지만 많은 집안에서 기제사처럼 지낸다. 우리 집안도 예외는 아니다. 차례의 격식에 맞춰 술도 한 번만 올리는 단헌무축을 하고 싶지만, 조상대대로 내려온 예법을 바꾸기란 쉽지 않다.
2021-02-0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